54쪽 예제 해설이니, 55쪽이네요. 63쪽 5번 질문과도 연관있는데요.
7 결과에 대한 전문가 조언을 보면 정규화를 거쳐
314.1592e + 5가 3.141592e + 07이 됐다고 했습니다.
정규화가 진수부를 소숫점 앞 한 자리 수만 둔다는 뜻인가요?
그래서 314.1592e + 5가 3.141592e + 07이 됩니까?
그리고 "07"의 0은 안 붙여도 되는지요?
97쪽 예제 2번은 지금 교재가 없어서 정확하진 않지만
현재 시간을 난수로 바꾼다고 했던 것 같은데,
시험에서 이런 문제가 나오면 난수를 제가 발생시켜야 합니까?
그럼 어떻게 발생시키나요?
그리고 발생된 난수(?)중 8056을 6으로 나눈 나머지가 책에는 2로 나와 있는데,
제가 계산하니 4로 나옵니다. 어떻게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지수형태의 수가 컴퓨터에 저장될 때는 정수부가 한자리로만 구성되는 정규화를 거쳐 3.1415.....e+7로 저장됩니다. 이 것을 출력할 때만 형식을 갖춰 3.141592e+07로 적어주시면 되는 거죠.
(형식과 관련해서는 이전 답변을 참고해주세요.)
아뇨, 문제가 나온다면 알고리즘을 파악하여 빈 칸에 무엇이 들어가야 적합한지에 대한 문제가 나옵니다.
사용자가 난수를 직접 발생시켜야 하는 상황이 나오는 문제는 출제될 수 없죠.
8056의 6에 대한 나머지는 4가 맞습니다.
오탈로 인해 학습에 혼란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참고로, 2020년 정보처리기사가 개편으로 인해 문제가 많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하고 계신가요?
(2019 교재로 지속적으로 문의주셔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쭙니다.)
산업인력공단은 2020년을 기점으로 정보처리기사의 출제 기준과 난이도를 크게 개편함에 따라 기존의 2019교재 만으로는 합격이 어려운 실정에 있습니다.
기존 교재로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부분은 계속 학습하셔도 무관하나 그 외에 추가된 부분이 많이 있다는 점 유념에 두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1-20 11:06:3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지수형태의 수가 컴퓨터에 저장될 때는 정수부가 한자리로만 구성되는 정규화를 거쳐 3.1415.....e+7로 저장됩니다. 이 것을 출력할 때만 형식을 갖춰 3.141592e+07로 적어주시면 되는 거죠.
(형식과 관련해서는 이전 답변을 참고해주세요.)
아뇨, 문제가 나온다면 알고리즘을 파악하여 빈 칸에 무엇이 들어가야 적합한지에 대한 문제가 나옵니다.
사용자가 난수를 직접 발생시켜야 하는 상황이 나오는 문제는 출제될 수 없죠.
8056의 6에 대한 나머지는 4가 맞습니다.
오탈로 인해 학습에 혼란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참고로, 2020년 정보처리기사가 개편으로 인해 문제가 많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하고 계신가요?
(2019 교재로 지속적으로 문의주셔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쭙니다.)
산업인력공단은 2020년을 기점으로 정보처리기사의 출제 기준과 난이도를 크게 개편함에 따라 기존의 2019교재 만으로는 합격이 어려운 실정에 있습니다.
기존 교재로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부분은 계속 학습하셔도 무관하나 그 외에 추가된 부분이 많이 있다는 점 유념에 두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