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가
for(i= ~ )
c=a+b
sum +=c
a=b
b=c
인데, 해설에 디버깅에서
i=4 일때 sum=4은 어떻게 나온건가요?
i=3일때 sum=2 이고 , i=4일때 c=3이 됬으니
i=4 일때 sum은 i=3일때의 sum값 2와 i=4일때의 c값 3을 더해서 5가 되어야되는가 아닌가요? ㅠㅠ
i=4일때 c 값이 3으로 이미 바뀌엇는데 왜
i=3일때의 c값 2와 sum값 2를 더해서 i=4일때 sum을 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i가 3일때 sum은 4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는 단순한 변수값 변화의 나열에 지나지 않습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다음은 i를 기준으로 디버깅표를 작성한 결과입니다.
직접 디버깅해보며 확인해보세요.
| a | b | c | sum |
초기값 | 1 | 1 | | 2 |
i = 3 | 1 | 2 | 2 | 4 |
i = 4 | 2 | 3 | 3 | 7 |
i = 5 | 3 | 5 | 5 | 12 |
i = 6 | 반복문 종료 & 출력 |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10-08 17:36:5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i가 3일때 sum은 4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는 단순한 변수값 변화의 나열에 지나지 않습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다음은 i를 기준으로 디버깅표를 작성한 결과입니다.
직접 디버깅해보며 확인해보세요.
a
b
c
sum
초기값
1
1
2
i = 3
1
2
2
4
i = 4
2
3
3
7
i = 5
3
5
5
12
i = 6
반복문 종료 & 출력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