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순서도의 경우 <처리조건> 또는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기본적으로 배열의 위치는 1부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a[10]이 선언되었다면 a[1]~a[10] 까지 사용할 수 있죠.
언어에서 a[10]이 선언되었다면 a[0]~a[9]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다르게 말이죠.
[2]
? 어떤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씀하시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비교연산자 '<>'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과 동일한 수학식의 부등호입니다.
순서도에서는 언어의 비교연산자 '==' 는 '='으로 '!='는 '<>'로 표현합니다.
예외로 <처리조건>에서 특정 기호를 쓰라고 언급되어 있는 경우는 해당 기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10-07 15:07: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순서도의 경우 <처리조건> 또는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기본적으로 배열의 위치는 1부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a[10]이 선언되었다면 a[1]~a[10] 까지 사용할 수 있죠.
언어에서 a[10]이 선언되었다면 a[0]~a[9]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다르게 말이죠.
[2]
? 어떤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씀하시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비교연산자 '<>'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과 동일한 수학식의 부등호입니다.
순서도에서는 언어의 비교연산자 '==' 는 '='으로 '!='는 '<>'로 표현합니다.
예외로 <처리조건>에서 특정 기호를 쓰라고 언급되어 있는 경우는 해당 기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