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코드에서
196쪽
③ if (a>=b)
195쪽
③A:B
를 ① < ② >
플로차트에서는 작거나 큰경우만 판단했는데, C언어 코드에서는 a와 b가 같을 경우를 포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당시 시험에서는 <처리조건>에 두 수가 같은 경우는 판단하지 않는다고 제시되어 1번 빈칸과 2번 빈칸에 '등호'가 사용될 여지를 없앴습니다.
이러한 순서도를 코드로 그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if (a>b) {
big = a;
small = b;
else if (b>a) {
big = b;
small = a;
}
이렇게 처리되어야 하는데 동일 값이 들어가게 되는 경우 알고리즘이 아예 동작하지 않게 되죠.
굳어 언어에서까지 위의 제약조건을 구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어 코드에서는 등호 기호를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등호가 빠져도 else로 처리되므로 if (a > b)도 문제는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9-30 11:43:4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당시 시험에서는 <처리조건>에 두 수가 같은 경우는 판단하지 않는다고 제시되어 1번 빈칸과 2번 빈칸에 '등호'가 사용될 여지를 없앴습니다.
이러한 순서도를 코드로 그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if (a>b) {
big = a;
small = b;
else if (b>a) {
big = b;
small = a;
}
이렇게 처리되어야 하는데 동일 값이 들어가게 되는 경우 알고리즘이 아예 동작하지 않게 되죠.
굳어 언어에서까지 위의 제약조건을 구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어 코드에서는 등호 기호를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등호가 빠져도 else로 처리되므로 if (a > b)도 문제는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