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호 4번에 정답에 B=MOK라고 되어있습니다
B=B/D라고 쓰면 안되는 건가요?
8번검정동그라미를 보면 앞에 MOK=INT(B/D)라고 되어있는데
B/D는 몫만 가지는거 아닌가요?! 앞에 int가 붙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순서도에서는 B/D가 몫이 아닌 그냥 결과값인가요?? (( ex) 11/5=2.2이렇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번 빈칸에 b=mok 대신 b=b/d 또한 동일한 값이 b에 치환되므로 정답입니다.
--------
예, <처리조건> 또는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이상 순서도의 변수는 '정수형' 또는 '실수형' 등의 선언이 되지 않기 대문에 얼마든지 실수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int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죠.
다만 주의하실 점은,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처리조건> 등에 미리 다음과 같은 문구가 언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를 이용하여 나눗셈을 수행하는 경우 소수점 이하는 버림 처리한다."
또는 "각 식의 결과가 실수인 경우 해당 수 이하의 정수만을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정도의 문구가 있는 경우 모든 식에 int함수가 있다거나, 모든 변수가 정수 변수라고 가정하고 순서도를 해석하셔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9-25 13:29:5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번 빈칸에 b=mok 대신 b=b/d 또한 동일한 값이 b에 치환되므로 정답입니다.
--------
예, <처리조건> 또는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이상 순서도의 변수는 '정수형' 또는 '실수형' 등의 선언이 되지 않기 대문에 얼마든지 실수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int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죠.
다만 주의하실 점은,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처리조건> 등에 미리 다음과 같은 문구가 언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를 이용하여 나눗셈을 수행하는 경우 소수점 이하는 버림 처리한다."
또는 "각 식의 결과가 실수인 경우 해당 수 이하의 정수만을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정도의 문구가 있는 경우 모든 식에 int함수가 있다거나, 모든 변수가 정수 변수라고 가정하고 순서도를 해석하셔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