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쪽 문제 5번 출력 결과가 어떻게 나온 건지 이해가 잘 안 가는데 혹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지수에 대한 개념이 아직 모호해서요 :(
그리고 76쪽 3번 문제는 왜 답이 12인지 궁금합니다! i = 10부터 시작해서 i가 1보다 큰 동안 반복되는 반복문에서 조건이 i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hap 변수에 i를 누적시키라고 했는데, 3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1이 되는 i 값은 4 + 7 + 10 = 21이 아닌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지수
지수 표현은 아래에서 * 또는 /가 생략된 형태로 표기됩니다.
(실수)e(* or /)(10의 승수)
123.45 를 진수부가 한자리인 수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나누기 100을 하면 되니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진수부 : 실수에서 . 왼쪽부분, 즉 정수부분을 말합니다.)
1.2345*102
이것을 지수표현으로 바꾸게 되면,
1.2345e+2 가 되죠.
0.00123을 진수부 한자리인 수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곱하기 1000을 하면 되니 아래와 같이 표현이 가능합니다.
1.23/10-3
이것을 지수표현으로 바꾸게 되면,
1.23e-3 이 되죠.
해당 문제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풀어보시면 됩니다.
123456789.0e-5는 풀어보면 아래와 같은 수가 됩니다.
123456789.0/105 = 1234.56789
이것을 지수부 한 개만 남겨두면
1.23456789*103
지수로 고쳐쓰면
1.23456789e+3
여기서 문제는 C에서 별다른 서식지정자를 쓰지 않으면 실수는 소수점 7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6자리만 출력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수표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소수점 7번째 자리인 8에서 반올림 하면 6번째 자리인 7이 1 증가하여 8이 됩니다. 수로 표현하게 되면
1.234568e+3이 되는 것이죠.
[2]
10으로 초기화된 i가 while문으로 진입하여 처음 if문으로 가기 전에 i--를 수행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if(i%3==1) 에서 처음 i의 값은 9가 됩니다.
즉, 10은 i%3를 수행할 일이 없게되고, 7, 4, 1이 저장되어 12의 결과값이 나옵니다.
1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임을 종종 혼동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수학이 아닌 산수를 하던 시절을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4를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할 때, 몫은 1, 나머지는 1이 나왔을 것입니다.
이때 나눔 수인 3과 몫 1을 곱한 후 나머지를 더하면 원래 수인 4가 나오게 되죠.
동일하게
1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몫이 0, 나머지는 1이 나오게 됩니다.
3*0+1=1 이라는 검산 결과로 확인할 수 있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8-06 11:05:2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지수
지수 표현은 아래에서 * 또는 /가 생략된 형태로 표기됩니다.
(실수)e(* or /)(10의 승수)
123.45 를 진수부가 한자리인 수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나누기 100을 하면 되니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진수부 : 실수에서 . 왼쪽부분, 즉 정수부분을 말합니다.)
1.2345*102
이것을 지수표현으로 바꾸게 되면,
1.2345e+2 가 되죠.
0.00123을 진수부 한자리인 수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곱하기 1000을 하면 되니 아래와 같이 표현이 가능합니다.
1.23/10-3
이것을 지수표현으로 바꾸게 되면,
1.23e-3 이 되죠.
해당 문제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풀어보시면 됩니다.
123456789.0e-5는 풀어보면 아래와 같은 수가 됩니다.
123456789.0/105 = 1234.56789
이것을 지수부 한 개만 남겨두면
1.23456789*103
지수로 고쳐쓰면
1.23456789e+3
여기서 문제는 C에서 별다른 서식지정자를 쓰지 않으면 실수는 소수점 7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6자리만 출력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수표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소수점 7번째 자리인 8에서 반올림 하면 6번째 자리인 7이 1 증가하여 8이 됩니다. 수로 표현하게 되면
1.234568e+3이 되는 것이죠.
[2]
10으로 초기화된 i가 while문으로 진입하여 처음 if문으로 가기 전에 i--를 수행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if(i%3==1) 에서 처음 i의 값은 9가 됩니다.
즉, 10은 i%3를 수행할 일이 없게되고, 7, 4, 1이 저장되어 12의 결과값이 나옵니다.
1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임을 종종 혼동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수학이 아닌 산수를 하던 시절을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4를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할 때, 몫은 1, 나머지는 1이 나왔을 것입니다.
이때 나눔 수인 3과 몫 1을 곱한 후 나머지를 더하면 원래 수인 4가 나오게 되죠.
동일하게
1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몫이 0, 나머지는 1이 나오게 됩니다.
3*0+1=1 이라는 검산 결과로 확인할 수 있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