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오탈로 인해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관계대수의 홑따옴표는 쌍따옴표로 수정되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2번 문제에 대한 질의에 대해서는
NOT은 시험에 출제된 적이 없어 단순히 제시만 되었으나 실제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문제가 <회원> 릴레이션에서 등급이 '일반'이 아닌 튜플의 회원명을 구한다고 가정하면,
ㄱ(σ등급="비회원"(할인율))
이렇게 되겠죠.
관계대수는 관계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코딩에서 주로 인식하는 !=, <> 와 다르게 일반 수학식의 기호를 주로 이용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사람이 해석하기 위한 용도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관계식을 작성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경우 컴퓨터가 읽을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한글 프로그램의 수식 입력기 처럼 자판이 아닌 도구들을 통해서 입력하게 되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28 13:10:2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오탈로 인해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관계대수의 홑따옴표는 쌍따옴표로 수정되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2번 문제에 대한 질의에 대해서는
NOT은 시험에 출제된 적이 없어 단순히 제시만 되었으나 실제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문제가 <회원> 릴레이션에서 등급이 '일반'이 아닌 튜플의 회원명을 구한다고 가정하면,
ㄱ(σ등급="비회원"(할인율))
이렇게 되겠죠.
관계대수는 관계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코딩에서 주로 인식하는 !=, <> 와 다르게 일반 수학식의 기호를 주로 이용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사람이 해석하기 위한 용도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관계식을 작성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경우 컴퓨터가 읽을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한글 프로그램의 수식 입력기 처럼 자판이 아닌 도구들을 통해서 입력하게 되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