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도메인에서는 check (sex in(~ 이 아닌 check (value in(~ 을 사용해야 합니다.
[2]
먼저 IN은 or 조건으로 같은 속성에 나열되는 값을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a=1 or a=2 or a=3 이라면 in(1, 2, 3) 으로 쓸 수 있죠.
1) create domain과 같이 속성명을 지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기사 수준에서는 도메인 외에 속성명이 존재하지 않는 제약조건(check)은 존재하지 않으니, create domain에서는 속성명이 들어가야하는 'check ([속성명] in( A, B, C))' 형식에서 속성명 대신 value가 들어갔다고 기억하세요.
2) 단순히 in으로 나열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조건이 단순한 경우입니다.
'a가 10 이하인지 확인해라' 라고 하면 check (a<=10) 만 쓰면 되는데 굳이 in을 사용할 필요는 없죠.
3) 이게 기본형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check ([속성명] in( A, B, C))
을 기억하시고, 제약조건을 적을 때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26 10:29:0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도메인에서는 check (sex in(~ 이 아닌 check (value in(~ 을 사용해야 합니다.
[2]
먼저 IN은 or 조건으로 같은 속성에 나열되는 값을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a=1 or a=2 or a=3 이라면 in(1, 2, 3) 으로 쓸 수 있죠.
1) create domain과 같이 속성명을 지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기사 수준에서는 도메인 외에 속성명이 존재하지 않는 제약조건(check)은 존재하지 않으니, create domain에서는 속성명이 들어가야하는 'check ([속성명] in( A, B, C))' 형식에서 속성명 대신 value가 들어갔다고 기억하세요.
2) 단순히 in으로 나열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조건이 단순한 경우입니다.
'a가 10 이하인지 확인해라' 라고 하면 check (a<=10) 만 쓰면 되는데 굳이 in을 사용할 필요는 없죠.
3) 이게 기본형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check ([속성명] in( A, B, C))
을 기억하시고, 제약조건을 적을 때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