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7번]
지수표현에 대해서는... 이건 프로그래밍이 아닌 일반 수학 표기식에 해당하는 것이기에 특별히 더 언급드릴만한 것이 없습니다. ㅠ
그저 실수 뒤에 'e'가 붙고 + 또는 - 정수가 붙는 형식의 지수표현은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된다는 점만 알아두세요.
ex) Ne+3 = N*(10^3) Ne-5 = N/(10^5)
[8번]
기본적인 사항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컴퓨터에서 모든 문자는 '아스키 코드'의 값으로 저장되며, 출력시 문자형으로 출력하는 것이 아닌 정수형으로 출력하게 되면 해당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 코드'의 값이 출력되게 됩니다.
만약 c[3] 배열에 'A', 'B', 'C'라는 문자를 저장했다면, 차례대로 65, 66, 67로 컴퓨터에 저장되었다가
서식문자열 "%c"로 출력하면 동일하게 A, B, C가 출력되지만, "%d"로 출력하면 65, 66, 67로 출력됩니다.
어떤 문자가 어떤 아스키 값으로 저장되는지는 굳이 암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문자는 '아스키 코드'라는 숫자형으로 출력이 가능하다는 것 정도만 알아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24 13:59: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7번]
지수표현에 대해서는... 이건 프로그래밍이 아닌 일반 수학 표기식에 해당하는 것이기에 특별히 더 언급드릴만한 것이 없습니다. ㅠ
그저 실수 뒤에 'e'가 붙고 + 또는 - 정수가 붙는 형식의 지수표현은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된다는 점만 알아두세요.
ex) Ne+3 = N*(10^3) Ne-5 = N/(10^5)
[8번]
기본적인 사항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컴퓨터에서 모든 문자는 '아스키 코드'의 값으로 저장되며, 출력시 문자형으로 출력하는 것이 아닌 정수형으로 출력하게 되면 해당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 코드'의 값이 출력되게 됩니다.
만약 c[3] 배열에 'A', 'B', 'C'라는 문자를 저장했다면, 차례대로 65, 66, 67로 컴퓨터에 저장되었다가
서식문자열 "%c"로 출력하면 동일하게 A, B, C가 출력되지만, "%d"로 출력하면 65, 66, 67로 출력됩니다.
어떤 문자가 어떤 아스키 값으로 저장되는지는 굳이 암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문자는 '아스키 코드'라는 숫자형으로 출력이 가능하다는 것 정도만 알아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