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권 85, 87페이지 in 활용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포함)
페이지
85,87
조회수
339
작성일
2019-06-2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85페이지 7번 문제 같은 경우 chek value in ('사원','대리'....) 이런식으로 in 앞에 value를 쓰는데

87페이지 11번 문제 check 직책 in ('사원','대리',...) 이런식으로 in 앞에 해당 속성명을 사용하더라구요

 

혹시 사용할 때 특별한 사용 방법이 있는건가요?(그런거면 어느 때에 어떤 걸 사용하는 건가요?) 아니면 혼용해서 사용해도 괜찮은건가요? 잘모르겠어요 ㅠ

답변
2019-06-24 13:38: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기본적으로 check 예약어의 경우

check ([속성명] in(A, B, C))

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다만 DOMAIN의 경우 특별한 속성이 정해져 있지 않고, 미리 특정(또는 다수의) 속성의 제약조건 등을 자료형으로 정의해두는 것이기 때문에 적을 [속성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VALUE를 사용합니다.

(85쪽 create domain에서 '직위'는 자료형으로 사용됩니다.)

 

간단히 도메인의 제약조건을 사용할 때는 속성명이 존재할 수 없으니 value를 쓴다. 정도로 알고 계시면 될듯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6-24 13:38: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기본적으로 check 예약어의 경우

    check ([속성명] in(A, B, C))

    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다만 DOMAIN의 경우 특별한 속성이 정해져 있지 않고, 미리 특정(또는 다수의) 속성의 제약조건 등을 자료형으로 정의해두는 것이기 때문에 적을 [속성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VALUE를 사용합니다.

    (85쪽 create domain에서 '직위'는 자료형으로 사용됩니다.)

     

    간단히 도메인의 제약조건을 사용할 때는 속성명이 존재할 수 없으니 value를 쓴다. 정도로 알고 계시면 될듯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