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맞습니다.
수강과목 ->> 담임교수
수강과목 ->> 교재
라는 다치종속이 존재합니다.
[2]
먼저 종속성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십니다.
이에 대해서는 언급드릴 부분이 없네요.
다치종속은 아래와 같은 테이블을 분해하려 할 때 나타납니다.
(151쪽 <과목> 테이블 기준)
수강과목 | 담임교수 | 교재 |
데이터베이스 | 홍길동 박찬호 | D/B 일반 SQL 개념 |
운영체제 | 강감찬 | 운영체제이론 시스템 개발 |
시스템분석 | 이순신 | 시스템 설계 |
정보통신 | 이승엽 | 데이터통신 |
위에서 중심이 되는 속성이 '수강과목' 일 때 이를 개념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죠.
4정규화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말씀하신것과 같이 다른 종속성과 조금 분리해서 암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다치종속을 이용한다 함은 제2정규화 과정의 부분 함수적 종속 제거와 다를바 없습니다.
다만 BCNF를 통해 릴레이션의 모든 속성이 '키'인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에서 각 개념들을 기존의 '부분 함수적 종속' 개념과 분리하여 설명하기 위해 나타난 개념일 뿐이죠.
음.. 제대로 설명되었는지 모르겠네요.
궁금한 점이 더 있으시다면, 추가로 질문주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24 13:07:4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맞습니다.
수강과목 ->> 담임교수
수강과목 ->> 교재
라는 다치종속이 존재합니다.
[2]
먼저 종속성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십니다.
이에 대해서는 언급드릴 부분이 없네요.
다치종속은 아래와 같은 테이블을 분해하려 할 때 나타납니다.
(151쪽 <과목> 테이블 기준)
수강과목
담임교수
교재
데이터베이스
홍길동
박찬호
D/B 일반
SQL 개념
운영체제
강감찬
운영체제이론
시스템 개발
시스템분석
이순신
시스템 설계
정보통신
이승엽
데이터통신
위에서 중심이 되는 속성이 '수강과목' 일 때 이를 개념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죠.
4정규화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말씀하신것과 같이 다른 종속성과 조금 분리해서 암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다치종속을 이용한다 함은 제2정규화 과정의 부분 함수적 종속 제거와 다를바 없습니다.
다만 BCNF를 통해 릴레이션의 모든 속성이 '키'인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에서 각 개념들을 기존의 '부분 함수적 종속' 개념과 분리하여 설명하기 위해 나타난 개념일 뿐이죠.
음.. 제대로 설명되었는지 모르겠네요.
궁금한 점이 더 있으시다면, 추가로 질문주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