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설명에서 28이 출력되는데, 굳이 C에 28을 넣고 안 돌려도 되지 않나요?
따라서, 1,2 정답도 1.< 2.>= 으로도 되지 않나요?? 질문에도 약수를 크기 순서대로 배열하라는 말도 없고 해서요.
제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질문의 요지를 잘 파악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배열 A의 마지막 요소에 입력값 또는 자기수(디버깅에서는 28)가 들어갈 필요가 있냐고 물으신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있습니다.
문제에서는 '약수'를 구하라고 하였으며, 앞에서 출력한 B(순서도 6번)는 입력값입니다.
'약수'란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없는 수를 의미하며 특별한 조건이 없다면 자기수 또한 포함합니다.
때문에 출력방식은
(입력값), (약수1), (약수2), (약수3) ..... (약수n)
이러하기 때문에 자기수가 두 번 중복되어 출력되는 것이 정상적인 출력입니다.
해당 순서도는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로, 교재에서는 알고리즘에 대해 중점으로 설명하느라 상세한 <처리조건>을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제로는 '입력값'과 '모든 약수'를 출력하는 문제였습니다.
위의 사항으로 인해 빈 칸 1과 2 또한 등호가 2번으로 옮겨가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20 10:30:4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질문의 요지를 잘 파악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배열 A의 마지막 요소에 입력값 또는 자기수(디버깅에서는 28)가 들어갈 필요가 있냐고 물으신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있습니다.
문제에서는 '약수'를 구하라고 하였으며, 앞에서 출력한 B(순서도 6번)는 입력값입니다.
'약수'란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없는 수를 의미하며 특별한 조건이 없다면 자기수 또한 포함합니다.
때문에 출력방식은
(입력값), (약수1), (약수2), (약수3) ..... (약수n)
이러하기 때문에 자기수가 두 번 중복되어 출력되는 것이 정상적인 출력입니다.
해당 순서도는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로, 교재에서는 알고리즘에 대해 중점으로 설명하느라 상세한 <처리조건>을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제로는 '입력값'과 '모든 약수'를 출력하는 문제였습니다.
위의 사항으로 인해 빈 칸 1과 2 또한 등호가 2번으로 옮겨가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