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배열의 '주소'와 '길이'에 대해서 혼동하신듯 합니다.
(학습하시는 페이지가 java이니 java로 예를 들겠습니다.)
예를 들어 char[] st = new char [12]; 로 선언했을 때, 뒤 []에 들어가는 숫자는 배열의 '길이' 입니다.
배열 st는 0~11까지의 주소를 갖고 요소를 저장하는 총 길이 12의 char형 배열로 선언된 것이죠.
.length() 함수는 배열 또는 String 자료형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charAt() 함수는 String 자료형의 '지정 주소값'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음.. 이 경우는 각 함수의 특성을 암기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문자열의 전체 길이 또는 전체 데이터를 불러오는 계통이 아닌, 하나의 문자를 뽑아내거나 할 때는 '길이'를 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 '주소'를 활용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13 10:33:3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배열의 '주소'와 '길이'에 대해서 혼동하신듯 합니다.
(학습하시는 페이지가 java이니 java로 예를 들겠습니다.)
예를 들어 char[] st = new char [12]; 로 선언했을 때, 뒤 []에 들어가는 숫자는 배열의 '길이' 입니다.
배열 st는 0~11까지의 주소를 갖고 요소를 저장하는 총 길이 12의 char형 배열로 선언된 것이죠.
.length() 함수는 배열 또는 String 자료형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charAt() 함수는 String 자료형의 '지정 주소값'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음.. 이 경우는 각 함수의 특성을 암기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문자열의 전체 길이 또는 전체 데이터를 불러오는 계통이 아닌, 하나의 문자를 뽑아내거나 할 때는 '길이'를 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 '주소'를 활용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