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구조체는 변수보다 큰 개념입니다.
윈도우의 폴더개념을 예로 들면, 변수를 하나의 파일이 되겠고, 구조체는 그 파일들을 포함한 폴더가 됩니다.
구조체가 여러 변수를 포함하게 되죠.
첨부하신 이미지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파악이 안됩니다. ㅠ
84쪽의 '지정'이라는 의미는 구조체 안에 있는 각 변수들을 가리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85쪽의 sawon 구조체에 있는 name 변수를 가리키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체이름]을 적은 뒤 온점(.)을 찍고, 그 뒤에 구조체에 포함된 [변수이름]을 적어주는 형식입니다.
sawon.name 이런 식으로요.
만약 sawon 구조체에 있는 name 변수에 값을 넣기 위해서는
sawon.name = [값]
이렇게 해야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07 13:12:3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구조체는 변수보다 큰 개념입니다.
윈도우의 폴더개념을 예로 들면, 변수를 하나의 파일이 되겠고, 구조체는 그 파일들을 포함한 폴더가 됩니다.
구조체가 여러 변수를 포함하게 되죠.
첨부하신 이미지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파악이 안됩니다. ㅠ
84쪽의 '지정'이라는 의미는 구조체 안에 있는 각 변수들을 가리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85쪽의 sawon 구조체에 있는 name 변수를 가리키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체이름]을 적은 뒤 온점(.)을 찍고, 그 뒤에 구조체에 포함된 [변수이름]을 적어주는 형식입니다.
sawon.name 이런 식으로요.
만약 sawon 구조체에 있는 name 변수에 값을 넣기 위해서는
sawon.name = [값]
이렇게 해야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12 14:43:0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출력형태는 맞으나 입력형태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메인함수의 2번 부분 printf와 scanf가 연달아 있는 부분에 주의하세요.
C에서 입력을 하게 될 때 주로 엔터로 구분되므로, 실제 값을 입력 출력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이름 : 홍길동
직위 : 대리
급여 : 300
이름 : 홍길동
직위 : 대리
급여 : 300"
위쪽 입력부에서 data.name, data.jikwi, data.pay 를 입력받아,
아래쪽 출력부에서 data.name, data.jikwi, data.pay를 출력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9-06-12 02:31:35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제가 궁금한 건 말씀해주신 부분이 아니라
85쪽에 main함수 바로 아래부터 출력함수가 쓰이고 있는데 출력함수가 출력하라는 대로 출력했을 때
나오는 모습이 제가 올려놓은 사진의 모양과 같냐는 말이었습니다.
즉,
이름 : 직위 : 급여 :
이름 : (data.name에 저장된 값)
직위: (data.jikwi에 저장된 값)
급여: (data.pay에 저장된 값)
이 형태냐는 게 저의 질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