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81쪽 해설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바깥 for문은 반복 변수 i가 1부터 n(7)이 될 때까지 {}로 쌓인 3번~5번을 반복합니다.
안쪽 for문은 박본 변수 j가 1부터 i가 될 때까지 4번을 반복수행하죠.
즉, i가 1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1까지 1번
i가 2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2까지 2번
i가 3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3까지 3번
....
i가 7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7까지 7번
수행하게 되죠.
안쪽 for문은 수행될 때마다 안쪽 for문의 반복변수인 j의 값을 출력하며, 안쪽 for문이 종료되었을 때는 printf("\n")(5번 코드)을 통해 줄을 띄움으로써 75쪽 1번의 <출력>과 같은 형태의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추가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해당 부분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면 자세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6-07 10:54:2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81쪽 해설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바깥 for문은 반복 변수 i가 1부터 n(7)이 될 때까지 {}로 쌓인 3번~5번을 반복합니다.
안쪽 for문은 박본 변수 j가 1부터 i가 될 때까지 4번을 반복수행하죠.
즉, i가 1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1까지 1번
i가 2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2까지 2번
i가 3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3까지 3번
....
i가 7일 때 안쪽 for문은 1부터 7까지 7번
수행하게 되죠.
안쪽 for문은 수행될 때마다 안쪽 for문의 반복변수인 j의 값을 출력하며, 안쪽 for문이 종료되었을 때는 printf("\n")(5번 코드)을 통해 줄을 띄움으로써 75쪽 1번의 <출력>과 같은 형태의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추가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해당 부분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면 자세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