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337쪽 질문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포함)
페이지
337
조회수
118
작성일
2019-06-03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거의 대부분 모르겠지만 몇개만 질문하자면 

->

이 화살표 뜻이 궁금하고요

end와 head는 어디를 가르키는 건지 궁금해요 

답변
2019-06-03 11:21:3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해당 코드를 보기 이전에 먼저 필기에서 학습하셨던 '연결 리스트' 자료구조를 다시 한 번 복습해보시기를 권합니다.

연결리스트는 각 자료가 '포인터'를 포함하고 있어 다음 자료의 위치를 저장하는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의 사용 방법은 교재 84쪽 '구조체 멤버의 지정'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포인터로 생성된 구조체에서 구조체에 속한 멤버 변수들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head 노드는 해당 자료구조의 '시작점'을 의미하며,

end 노드는 상시 head 노드 다음에 삽입되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노드입니다.

 

즉, 처음 [head] 노드가 존재할 때 10이라는 데이터가 push 되면 이것이 end노드에 저장되어 head 다음에 배정됩니다.

[head] > [10]

 

다음 20이 push되면 다시 end 노드에 20이 저장되고 head뒤에 배치되어 다음과 같이 저장됩니다.

[head] > [20] > [10]

 

연결리스트의 개념을 이해한 후 보셔야 해당 코드의 이해가 쉽다는 것 유념하신 후 코드를 해설에 맞춰 따라가며 이해해보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해당 부분을 구체적으로 질문주시면 상세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6-03 11:21:3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해당 코드를 보기 이전에 먼저 필기에서 학습하셨던 '연결 리스트' 자료구조를 다시 한 번 복습해보시기를 권합니다.

    연결리스트는 각 자료가 '포인터'를 포함하고 있어 다음 자료의 위치를 저장하는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의 사용 방법은 교재 84쪽 '구조체 멤버의 지정'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포인터로 생성된 구조체에서 구조체에 속한 멤버 변수들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head 노드는 해당 자료구조의 '시작점'을 의미하며,

    end 노드는 상시 head 노드 다음에 삽입되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노드입니다.

     

    즉, 처음 [head] 노드가 존재할 때 10이라는 데이터가 push 되면 이것이 end노드에 저장되어 head 다음에 배정됩니다.

    [head] > [10]

     

    다음 20이 push되면 다시 end 노드에 20이 저장되고 head뒤에 배치되어 다음과 같이 저장됩니다.

    [head] > [20] > [10]

     

    연결리스트의 개념을 이해한 후 보셔야 해당 코드의 이해가 쉽다는 것 유념하신 후 코드를 해설에 맞춰 따라가며 이해해보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해당 부분을 구체적으로 질문주시면 상세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