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for문의 3번째 식에 들어가는 ++i와 i++의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전치수식(++i)과 후치수식(i++)으로 값이 달라지는 경우는 여러 인자가 들어가는 복합식에 포함되는 경우 뿐입니다.
(ex : sum = sum + i++ 또는 sum = sum + ++i)
for문의 진행은
for(①; ②; ③) {
④;
}
위의 for문이 ④를 3회 반복한다고 가정했을 때, 순서는
1회 : ①, ②(조건 참), ④
2회 : ③, ②(조건 참), ④
3회 : ③, ②(조건 참), ④
4회 : ③, ②(조건 거짓) <탈출>
입니다.
4회 때 증가식(3번)을 수행하고 조건식(2번)을 거짓으로 하고 빠져나가기 때문에 한 번 더 수행된다고 보여지는 것이죠.
[1]
120쪽의 문제 20번도 위의 것들을 고려하면서 풀어보세요.
쉼표(,)로 구분되는 식은 별개의 식입니다.
++a를 수행하고 난 후, hap+=a를 수행하는 것이지 앞의 전치수식이 뒤의 식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2]
위의 for문을 생각해보세요.
첫 번째 회전이라고 함은 for문 내의 식(4번)이 수행되어야 하는 타이밍입니다.
때문에 증가식인 ++i, hap+=i는 아직 수행되지 않은 시점이죠.
[3]
java의 경우 '사용자 정의 함수'와 '구조체' 부분이 C와 조금 다릅니다.
그래도 C와 비교하면서 각 코드의 역할을 살펴보면 이해하는데 어려운 점은 없으니, 학습하시는 중 어려운부분이 있으면 질문주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5-07 11:35:5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for문의 3번째 식에 들어가는 ++i와 i++의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전치수식(++i)과 후치수식(i++)으로 값이 달라지는 경우는 여러 인자가 들어가는 복합식에 포함되는 경우 뿐입니다.
(ex : sum = sum + i++ 또는 sum = sum + ++i)
for문의 진행은
for(①; ②; ③) {
④;
}
위의 for문이 ④를 3회 반복한다고 가정했을 때, 순서는
1회 : ①, ②(조건 참), ④
2회 : ③, ②(조건 참), ④
3회 : ③, ②(조건 참), ④
4회 : ③, ②(조건 거짓) <탈출>
입니다.
4회 때 증가식(3번)을 수행하고 조건식(2번)을 거짓으로 하고 빠져나가기 때문에 한 번 더 수행된다고 보여지는 것이죠.
[1]
120쪽의 문제 20번도 위의 것들을 고려하면서 풀어보세요.
쉼표(,)로 구분되는 식은 별개의 식입니다.
++a를 수행하고 난 후, hap+=a를 수행하는 것이지 앞의 전치수식이 뒤의 식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2]
위의 for문을 생각해보세요.
첫 번째 회전이라고 함은 for문 내의 식(4번)이 수행되어야 하는 타이밍입니다.
때문에 증가식인 ++i, hap+=i는 아직 수행되지 않은 시점이죠.
[3]
java의 경우 '사용자 정의 함수'와 '구조체' 부분이 C와 조금 다릅니다.
그래도 C와 비교하면서 각 코드의 역할을 살펴보면 이해하는데 어려운 점은 없으니, 학습하시는 중 어려운부분이 있으면 질문주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