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3회대비 산업기사 실기 모의고사 2번 문제입니다.
해설의 디버깅을 보면 cal함수 b가 3이되는 시점이 있는데, 어째서 3이 되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 가네요ㅜㅜ
cal함수 b가 3이 되기전까지의 디버깅은 제가 푼 것과 다 일치합니다ㅠㅠ
참고로 제가 푼 답은 2, 6이 나와요.
+ 그리고 2018년 3회대비 산업기사 실기 모의고사가 다른 모의고사보다 난이도가 높았나요?
다른 모의고사들은 과락은 면했는데 이거는 40점대네요ㅠㅠ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main() 함수에서 i가 3이 될 때, cal(i)를 통해 cal() 함수의 b가 3을 갖게 됩니다.
if 조건문에서 else를 통해 당시 a가 갖고 있는 값 1에서
a-= --b;
를 수행하고 나면 a는 -1이 되죠.
(a = a - 2)
전달되는 값과 계산 후의 값을 잘 구분하면서 디버깅 해보세요.
+ 특별히 높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SQL문제가 기존에 조회문(select)만 나와서 다른 것이 나올 가능성이 커 좀 다양하게 배치하였고, 데이터베이스도 익숙치 않은 관계대수가 나와서 좀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12 13:55:0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main() 함수에서 i가 3이 될 때, cal(i)를 통해 cal() 함수의 b가 3을 갖게 됩니다.
if 조건문에서 else를 통해 당시 a가 갖고 있는 값 1에서
a-= --b;
를 수행하고 나면 a는 -1이 되죠.
(a = a - 2)
전달되는 값과 계산 후의 값을 잘 구분하면서 디버깅 해보세요.
+ 특별히 높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SQL문제가 기존에 조회문(select)만 나와서 다른 것이 나올 가능성이 커 좀 다양하게 배치하였고, 데이터베이스도 익숙치 않은 관계대수가 나와서 좀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