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SQL문에서 check 와 in의 쓰임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포함)
페이지
111
조회수
228
작성일
2019-04-0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직책 속성에는 사원, 대리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라고한다면 - 직책 char(5) check (직책 IN (사원, 대리) ); - 직책 Char(5) IN (사원, 대리); - 직책 IN (사원, 대리); 1-1. 세 문장이 다 같은건가요?? 1-2. 그리고 제약조건 지정 시에는 check 와 value in으로 무조건 표시해야하고 위의 세 문장 처럼 표시하면 안되는거죠? 2. SQL문에서 같지않다를 표현할때 ≠랑 <> 둘 다 쓸 수있나요? 3. 자바와 씨언어에서 같다는 =로 표현하고 if문안에서만 ==로 쓰나요? 그리고 같지않다는 !=로 쓰는거죠? 순서도에서는 =, ≠로 쓰는거죠? 4. 장발장과 황진이 사원의 부서를 검색해라이면 SELECT 부서 FROM 사원 WHERE 성명=장발장 or 성명=황진이 / WHERE 성명 IN(장빌장, 황진이) /Where 성명=장발장 ,성명=황진이 웨얼절 중 뭘 쓸 수 있나요? 5. 황진이의 부서를 기획으로 변경하고 기본급을 5인상하라. 에서 UPDATE 사원 SET 부서 = 기획, 기본급 = 기본급+5 / SET 부서 = 기획 and 기본급 = 기본급+5 중 Set절에는 무엇을 쓸 수 있나요?
답변
2019-04-09 10:35:2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번째 3번째 문장은 구문오류가 발생합니다.

속성 생성의 기본적인 형식에 맞지 않습니다.

 

2번째 - in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value in, where 필드명 in, check(필드명 in 등 함께 사용되어야 하죠.

3번째 - 음.. 조회문이고 앞에 select~ where 가 존재한다면야 가능한 구문이지만, 모두 동일한 create table에서 수행한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틀렸습니다.

 

value in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create domain에서만 입니다.

(필드명 데이터형 check (value in( 값1, 값2...값n)) 도 사용할 수 있으나 정식으로 value 대신 필드명을 적는 것이 좋습니다.)

 

제약조건의 기본형은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필드명 in(값1, 값2,...값n)) 입니다.

 

 

[2]

≠는 관계대수에서 쓰는 경우는 보았으나 코드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기호가 아닙니다.

수학식이나 순서도 정도에서만 사용되죠.

가능한 <>를 사용하시고, 예외적으로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C나 자바에서 =는 우측의 값을 왼쪽에 치환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a=b 라는 것은 a와 b가 같다는 의미가 아닌 b의 값을 a에 저장(치환)하겠다는 의미가 됩니다.

'같다'라는 표현을 쓰시려면 if문만이 아닌 모든 곳에서 '=='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처음 코딩하는 분들이 이것 때문에 코드에러가 자주 발생하죠.)

 

코드에서 같지 않다는 '!=' 입니다. <>, ≠ 모두 쓰지 않습니다.

순서도에서는 셋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종종 <처리 조건>에서 언급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 경우 처리조건을 따라 주세요.

 

 

[4]

첫번째, 두번째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존재할 수 없는 구문입니다.

그리고 텍스트값에 홑따옴표'를 잊지 말아주세요.

 

 

[5]

두번째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and가 아닌 쉼표,를 사용하셔야 정상적으로 값이 변경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4-09 10:35:2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번째 3번째 문장은 구문오류가 발생합니다.

    속성 생성의 기본적인 형식에 맞지 않습니다.

     

    2번째 - in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value in, where 필드명 in, check(필드명 in 등 함께 사용되어야 하죠.

    3번째 - 음.. 조회문이고 앞에 select~ where 가 존재한다면야 가능한 구문이지만, 모두 동일한 create table에서 수행한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틀렸습니다.

     

    value in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create domain에서만 입니다.

    (필드명 데이터형 check (value in( 값1, 값2...값n)) 도 사용할 수 있으나 정식으로 value 대신 필드명을 적는 것이 좋습니다.)

     

    제약조건의 기본형은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필드명 in(값1, 값2,...값n)) 입니다.

     

     

    [2]

    ≠는 관계대수에서 쓰는 경우는 보았으나 코드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기호가 아닙니다.

    수학식이나 순서도 정도에서만 사용되죠.

    가능한 <>를 사용하시고, 예외적으로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C나 자바에서 =는 우측의 값을 왼쪽에 치환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a=b 라는 것은 a와 b가 같다는 의미가 아닌 b의 값을 a에 저장(치환)하겠다는 의미가 됩니다.

    '같다'라는 표현을 쓰시려면 if문만이 아닌 모든 곳에서 '=='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처음 코딩하는 분들이 이것 때문에 코드에러가 자주 발생하죠.)

     

    코드에서 같지 않다는 '!=' 입니다. <>, ≠ 모두 쓰지 않습니다.

    순서도에서는 셋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종종 <처리 조건>에서 언급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 경우 처리조건을 따라 주세요.

     

     

    [4]

    첫번째, 두번째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존재할 수 없는 구문입니다.

    그리고 텍스트값에 홑따옴표'를 잊지 말아주세요.

     

     

    [5]

    두번째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and가 아닌 쉼표,를 사용하셔야 정상적으로 값이 변경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