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페이지 4번 답을보면
grant option for 을 생략한 이유가 임꺽정이 update 권한을 다른사람에게 위임한 것까지 취소되기떄문 이라고 적혀있는대 문제와 맞지 않는것 같아서요
문제에는 임꺽정에게 부여된 update 권한과 임꺽정이 다른 사람에게 update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 그리고 임꺽정이 다른사람에게 부여한 update 권한도 모두 취소 하라고
문제가 제시되어있는대요
이 말은
1.임꺽정에게 부여한 update 권한
2.임꺽정이 다른사람에게 부여한 update 권한
3.임꺽정이 다른사람에게 update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
위 3가지 모두를 취소하라는 것으로 저는 해석했는대 아닌가요?
위에 말이 맞다면 grant option for 이 들어가야 다른사람에게 줄수 있는 권한이 취소되는것 아닌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grant option for에 대해서 혼동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해당 문제에 직접 예를 들어보죠.
REVOKE GRANT OPTION FOR UPDATE ON 수강 FROM 임꺽정 CASCADE;
위 코드를 수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1. 임꺽정이 수강 테이블에 부여된 UPDATE 권한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중요!!)
2. 임꺽정이 가진 UPDATE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이 삭제됩니다. (grant option for)
3. 임꺽정이 지금까지 다른 사람에게 나눠준 UPDATE 권한이 함께 삭제됩니다. (cascade)
grant option는 해당 유저에게 '다른 이에게 해당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을 추가 및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revoke에 grant option이 들어간다면 해당 유저의 권한 자체는 건들지 않겠다는 의미가 되어버리죠.
이점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08 14:10:4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grant option for에 대해서 혼동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해당 문제에 직접 예를 들어보죠.
REVOKE GRANT OPTION FOR UPDATE ON 수강 FROM 임꺽정 CASCADE;
위 코드를 수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1. 임꺽정이 수강 테이블에 부여된 UPDATE 권한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중요!!)
2. 임꺽정이 가진 UPDATE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이 삭제됩니다. (grant option for)
3. 임꺽정이 지금까지 다른 사람에게 나눠준 UPDATE 권한이 함께 삭제됩니다. (cascade)
grant option는 해당 유저에게 '다른 이에게 해당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을 추가 및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revoke에 grant option이 들어간다면 해당 유저의 권한 자체는 건들지 않겠다는 의미가 되어버리죠.
이점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09 09:44:4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정확하게 이해하셨습니다.
해당 사용자에게 A권한을 삭제하는 경우, 사용자는 A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할 권한은 자동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SQL의 권한부여 특성상 본인이 소유하지 않은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9-04-08 15:30:38
제가 지문 이해를 잘 못하네요
그럽 답이
REVOKE UPDATE ON 수강 FROM 임꺽정 CASCADE; 이렇게 되는거면
세부적으로 명령어를 나누어보면
1. (REVOKE UPDATE ON 수강 FROM 임꺽정) 임꺽정(본인) 에게 주어진 update 권한 취소
2. (cascade) 임꺽정이 다른 유저에게 update 권한 준것을 취소
이렇게 되는대요
지문에 임꺽정이 다름 사람에게 update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 도 취소하라고 나와있는대 이 부분은 어느곳을 보아야 하는것인가요?
저는 이 부분을 grant option for 이라고 생각했는대 아니라고 아니라고 하셨고..
그럼 위에 질문을 임꺽정 본인 update 권한을 취소함으로서 자동으로 다른 사람에게 update 권한 부여까지 자동으로 취소된다고 보아야하는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