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1권 321p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포함)
페이지
321
조회수
415
작성일
2019-04-05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플로차트에서
6번에서 15번으로 갔다가 push 함수를 실행하고 다시 6으로 갔을때 스택의 첫번째에 10이 입력된 상황인가요?
리턴값이 i 인지는 어떻게 아는 건가요..
7번에서 리턴값 i 가 -1이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한 것이라고 하는데 이건 정해져 있는건지 순서도 짤 때 제가 결정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답변
2019-04-08 13:48:2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처음 6번에서 push(k)를 수행하면 15번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15~22번인 push 함수를 수행하게 되면 stack[1]에는 ii(인자로 받은 k값)가 저장되게 되죠.
이후 22번을 수행하면 0을 반환하게 되는데,
이때 push(k)의 결과값이 0으로 돌아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i=push(k) 는 i=0 이 되는 것이죠.
리턴값 i가 -1인 경우를 찾아보세요.
순서도의 20번, 26번이 있습니다. 하나는 배열의 범위 5를 넘어섰을 때, 하나는 배열의 범위 0 아래로 떨어졌을 때죠.
순서도에 이미 정해져있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08 13:48:2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처음 6번에서 push(k)를 수행하면 15번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15~22번인 push 함수를 수행하게 되면 stack[1]에는 ii(인자로 받은 k값)가 저장되게 되죠.
이후 22번을 수행하면 0을 반환하게 되는데,
이때 push(k)의 결과값이 0으로 돌아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i=push(k) 는 i=0 이 되는 것이죠.
리턴값 i가 -1인 경우를 찾아보세요.
순서도의 20번, 26번이 있습니다. 하나는 배열의 범위 5를 넘어섰을 때, 하나는 배열의 범위 0 아래로 떨어졌을 때죠.
순서도에 이미 정해져있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