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권 77p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포함)
페이지
77
조회수
351
작성일
2019-04-01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테이블이나 도메인 정의하는 중에 속성에 대한 제약조건을 걸때요 예를들어 직책 char(10) check (직책 in (‘사원’,’대리’,’과장’)) 이나 Constraint valid-sex check (value in(‘남’,’여’)) 에서 in과 value in의 차이가뭔가요...? 헷갈리네요
답변
2019-04-02 13:18: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constraint 제약명 check(value in(A, B, C));

는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제약 조건 형식입니다.

 

특정 필드에 적용하는 도메인의 특성 상, 제약조건 절에 들어가야 하는 '필드명'은 도메인 생성시 존재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도메인 생성시에 들어가는 constraint 절에서는

 

constraint 제약명 check(필드명 in(A, B, C,....)); 

에서 필드명이 아닌 value가 들어가게 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4-02 13:18: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constraint 제약명 check(value in(A, B, C));

    는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제약 조건 형식입니다.

     

    특정 필드에 적용하는 도메인의 특성 상, 제약조건 절에 들어가야 하는 '필드명'은 도메인 생성시 존재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도메인 생성시에 들어가는 constraint 절에서는

     

    constraint 제약명 check(필드명 in(A, B, C,....)); 

    에서 필드명이 아닌 value가 들어가게 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