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분기 안에 있는 식인데
NMG = 0 이 아니라 NMG == 0 아닌가요?
뒤에도 조건분기에 들어가는 식 중에서
특정값을 확인하려고 할때 등호(==)가 아니라 대입(=)으로 되어있던데 순서도에서는 그렇게 표현해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순서도를 보실 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프로그래머가 아닌 일반인을 위한 것이라는 겁니다.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기호, 함수, 명령어 등을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반드시 그 용도와 사용법을 문제 또는 <처리조건>에서 언급되어야 합니다.
사칙연산이나, 등호 부등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사칙연산의 경우 ×÷의 경우 최근 */가 많이 사용되나, 전자의 것을 써도 오답은 아닙니다.
등호의 경우 ==가 아닌 =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부등호의 경우 <=, >= 뿐만이 아닌 <, > 아래에 =가 들어간 일반 수학식에서 이용하는 기호를 적을 때도 있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29 11:45:3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순서도를 보실 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프로그래머가 아닌 일반인을 위한 것이라는 겁니다.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기호, 함수, 명령어 등을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반드시 그 용도와 사용법을 문제 또는 <처리조건>에서 언급되어야 합니다.
사칙연산이나, 등호 부등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사칙연산의 경우 ×÷의 경우 최근 */가 많이 사용되나, 전자의 것을 써도 오답은 아닙니다.
등호의 경우 ==가 아닌 =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부등호의 경우 <=, >= 뿐만이 아닌 <, > 아래에 =가 들어간 일반 수학식에서 이용하는 기호를 적을 때도 있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