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가지 문의사항입니다.
1. 205페이지에나오는 MID, VAL은 C언어 혹은 JAVA에서 사용하는 함수인가요???(아참 MOD도 있었죠...이건 c에 함수가 없더군요)
아니라면 저건 어디서 나온건가요???
(206페이지 C언어 코드를 보면 또 전혀다른 atoi(), pow() 함수로 코딩이 되어있네요)순서도에서 atoi나 pow 함수를 사용하면 또 안되는건가요???
2. 그리고 나머지 구할때 %연산자를 사용하면 안된다고 하셨는데 A의 B승 계산할때는 또 ^연산자를 사용하라고 나오네요...
이거는 몬가... 일치성(consistency)에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요???
3. 그리고 부등호 표시할때 <=, >= 대신 =<, =>이런식 혹은 여기에 표시는 안되지만 같다의 =가 < 또는 > 아래에 오는방식이면 틀리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MID, VAL 등의 함수가 사용되었다면, 실제 시험에서는 <처리 조건>에서 언급되었을 것입니다.
mid(a, b, c) : a 문자열에서 b번째에서 c개의 문자를 가져온다.
val(a) : 문자열로 된 a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해당 문제의 경우 <처리 조건>을 상세히 적는 것을 생략하여 혼란을 드린 것 같습니다.
실제 순서도는 프로그래밍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닌지라, 함수 또는 특수 연산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2]
단순 수학연산자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 경우도 보통 <처리 조건>에서 언급이 됩니다.
특정 수의 승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보통 '^'를 사용합니다. (일반 수학)
(프로그램에서는 '**' 또는 함수를 이용하죠)
나머지를 구하는 '%' 또한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사용하는 특수 연산자로 순서도에서 사용하려면 미리 언급되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순서도에서는 틀린 표기방식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부등호 및 등호의 사용은 대부분 허용된다고 볼 수 있죠.
실기 시험의 경우 답안 및 채점 기준이 일체 공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기본적인 방식과 '문제', <처리 조건>이 가장 큰 기준이 됩니다.
이를 염두해 두고 문제를 해결하시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25 11:15:2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MID, VAL 등의 함수가 사용되었다면, 실제 시험에서는 <처리 조건>에서 언급되었을 것입니다.
mid(a, b, c) : a 문자열에서 b번째에서 c개의 문자를 가져온다.
val(a) : 문자열로 된 a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해당 문제의 경우 <처리 조건>을 상세히 적는 것을 생략하여 혼란을 드린 것 같습니다.
실제 순서도는 프로그래밍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닌지라, 함수 또는 특수 연산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2]
단순 수학연산자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 경우도 보통 <처리 조건>에서 언급이 됩니다.
특정 수의 승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보통 '^'를 사용합니다. (일반 수학)
(프로그램에서는 '**' 또는 함수를 이용하죠)
나머지를 구하는 '%' 또한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사용하는 특수 연산자로 순서도에서 사용하려면 미리 언급되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순서도에서는 틀린 표기방식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부등호 및 등호의 사용은 대부분 허용된다고 볼 수 있죠.
실기 시험의 경우 답안 및 채점 기준이 일체 공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기본적인 방식과 '문제', <처리 조건>이 가장 큰 기준이 됩니다.
이를 염두해 두고 문제를 해결하시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