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권 174쪽 문제2번 디버깅표는 없을까요? K=J 에서 YES, NO의 계산식이 서로 바뀌어야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2. a<10 , a<=10, a>10, a>=10 차이점을 모르겠습니다. 자꾸 헷갈리네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K=J가 동일한 경우 짝수에 합이 누적되는 것이 맞습니다.
k=int(j/2)*2 를 한다는 것은 홀수라면 j와 다른 값을, 짝수라면 j와 같은 값을 k에 저장하기 때문에 k와 j가 동일한 경우 even에 값을 누적하는 것이 올바른 결과겠죠.
[2]
...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반복식에서 자주 출현하는 비교연산자가 혼동되신다면, 직접 디버깅표를 작성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수치가 많은 경우 시작과 끝부분에서만 디버깅표를 작성하여 어떤 값에서 제어가 어디로 이동하냐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21 10:42:3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K=J가 동일한 경우 짝수에 합이 누적되는 것이 맞습니다.
k=int(j/2)*2 를 한다는 것은 홀수라면 j와 다른 값을, 짝수라면 j와 같은 값을 k에 저장하기 때문에 k와 j가 동일한 경우 even에 값을 누적하는 것이 올바른 결과겠죠.
[2]
...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반복식에서 자주 출현하는 비교연산자가 혼동되신다면, 직접 디버깅표를 작성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수치가 많은 경우 시작과 끝부분에서만 디버깅표를 작성하여 어떤 값에서 제어가 어디로 이동하냐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