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48페이지
디버깅표에 보면 i <10 이넘는지 확인합니다.
그런데 i가 9이면 yes가 아닌가요?
표의 내용대로 i가 9일때 NO이면 i가 10인경우에는 처리가 안되어야 하지 않나요?(순서도상 NO이면 바로 출력으로 빠져야 되잖아요???)
(다른 문제들도 대부분 비슷합니다)
2. 161페이지
책의 내용과 달리 변수를
i=0, k=0, j=1로 셋팅해도 결과는 동일하게 나오는데 만약에 시험에서 변수 초기값을 다르게 해서 문제를 풀게되면 틀리는건가요??? 아니면 부분점수가 있나요?
3. 실기 채점 기준
실기문제를 보니까 프로그래밍을 직접 하는방식이 아니라 순서도 가지고 하므로 하나의 문제를 다른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경우 정답과 다르더라고 출력값이 맞게되면 정답처리가 되나요??? 아니면 오답인가요??? 아니면 부분점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일반적인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즉, 해당 문제에서 i가 9인 경우 Yes가 맞지만 같은 줄에 표기된 것이 아닌 한줄 위에 기록된 것이죠. i<10의 판단은 i가 1~9까지 9번 값이 변한 것에 비해 8번만 비교되었으니까요.
[2]
시험에서 알고리즘 빈칸 채우기에서 보는 것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구문인지, 결과가 올바르게 나오는지 입니다. 초기값이 다르더라도 문제에서 요구하는 <처리 조건>을 충족하면서 정상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정답입니다.
[3]
명백하게 중복답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경우, 중복답으로 인정됩니다.
다만 시험 주관사인 산업인력공단은 세부적인 채점기준에 대해 어느것 하나 공개하고 있는 것이 없습니다. 심지어 답도 공개하고 있지 않죠. (알고리즘 파트 문제의 부분점수 여부 또한 알 수 없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가능한 중복답안이 나올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출제되기 때문에, 문제와 <처리 조건>을 자세히 읽고 푼다면 출제자가 원하는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20 10:22: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일반적인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즉, 해당 문제에서 i가 9인 경우 Yes가 맞지만 같은 줄에 표기된 것이 아닌 한줄 위에 기록된 것이죠. i<10의 판단은 i가 1~9까지 9번 값이 변한 것에 비해 8번만 비교되었으니까요.
[2]
시험에서 알고리즘 빈칸 채우기에서 보는 것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구문인지, 결과가 올바르게 나오는지 입니다. 초기값이 다르더라도 문제에서 요구하는 <처리 조건>을 충족하면서 정상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정답입니다.
[3]
명백하게 중복답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경우, 중복답으로 인정됩니다.
다만 시험 주관사인 산업인력공단은 세부적인 채점기준에 대해 어느것 하나 공개하고 있는 것이 없습니다. 심지어 답도 공개하고 있지 않죠. (알고리즘 파트 문제의 부분점수 여부 또한 알 수 없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가능한 중복답안이 나올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출제되기 때문에, 문제와 <처리 조건>을 자세히 읽고 푼다면 출제자가 원하는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