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i는 배열의 상태를 알려주는 스위치 변수입니다.
현재 작업 후 배열에 넘치지 않았다면 0, 더 이상 넣을 공간이 없거나 뺄 자료가 없다면 -1을 저장하게 되죠.
입출력 스위치 변수인 j가 1,1,1,1,2,2,1,1,1,1 변화하는 동안을 보면
자료가 4번 들어갔다가, 2번 빠졌다가, 다시 4번 들어가게 되죠.
하지만 배열의 공간은 5개 뿐입니다.
4-2+4 를 통해 6이 되니 마지막에는 더 이상 넣을 공간이 없어서 overflow가 찍히면서 i는 -1값을 갖게 되죠(순서도 20번)
316페이지의 디버깅표와 들어가는 자료들을 직접 넣어서 디버깅표를 작성해 보세요.
push(80)을 하는 순간 push(ii)가 호출되어 순서도 17번에서 20번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19 13:26:1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i는 배열의 상태를 알려주는 스위치 변수입니다.
현재 작업 후 배열에 넘치지 않았다면 0, 더 이상 넣을 공간이 없거나 뺄 자료가 없다면 -1을 저장하게 되죠.
입출력 스위치 변수인 j가 1,1,1,1,2,2,1,1,1,1 변화하는 동안을 보면
자료가 4번 들어갔다가, 2번 빠졌다가, 다시 4번 들어가게 되죠.
하지만 배열의 공간은 5개 뿐입니다.
4-2+4 를 통해 6이 되니 마지막에는 더 이상 넣을 공간이 없어서 overflow가 찍히면서 i는 -1값을 갖게 되죠(순서도 20번)
316페이지의 디버깅표와 들어가는 자료들을 직접 넣어서 디버깅표를 작성해 보세요.
push(80)을 하는 순간 push(ii)가 호출되어 순서도 17번에서 20번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