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증가치를 잘못파악하셨습니다.
for (j = L; j != m + n; j += n) 부분에서 j+=n은 j=j+n 과 같은 이야기죠.
L이 5, m+n이 -1이 되는 시점에서
j는 5부터 -1이 되지 않는 시점까지, 즉 5부터 0까지 반복합니다.
이 때 n=-1이니 j=j-1이 되게 되죠.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j--가 되는겁니다.
결과값으로 나온 j 즉 4가 증가값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for문을 설명할 때 '증가값'이라고 표현하지만 for문의 작동 순서로 볼 때 단순한 하나의 식이라고 판단하셔야 합니다.
초기값을 주고 조건식이 거짓(false)이 될때까지 증가값의 식(j+=n)을 반복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9-03-05 13:34:1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증가치를 잘못파악하셨습니다.
for (j = L; j != m + n; j += n) 부분에서 j+=n은 j=j+n 과 같은 이야기죠.
L이 5, m+n이 -1이 되는 시점에서
j는 5부터 -1이 되지 않는 시점까지, 즉 5부터 0까지 반복합니다.
이 때 n=-1이니 j=j-1이 되게 되죠.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j--가 되는겁니다.
결과값으로 나온 j 즉 4가 증가값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for문을 설명할 때 '증가값'이라고 표현하지만 for문의 작동 순서로 볼 때 단순한 하나의 식이라고 판단하셔야 합니다.
초기값을 주고 조건식이 거짓(false)이 될때까지 증가값의 식(j+=n)을 반복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