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잘 안나오는 D형 문제들과, 서술형은 시간상 일단 안보기로하였고..
1. 전산영어를 제외한 부분의 모든 용어를 영어로도 외워야하나 궁금합니다. 한글도 방대한데 영어까지 알고 있어야 한다면 공부량이 배로 증가할것같아서요..
2. 1번의 질문의 영어가 시험 문제로 나왔을경우 약자로 써도 정답처리가 되나요? (Ex)Database Administrator → DBA)
3. 간혹 영어로 쓰라는 말도 나온다고 하는데 이러한 형식도 서술형처럼 "간혹"나온다면, 그냥 이것도 시간나면 몇가지만 외우려합니다..
혹여, "전산영어를 제외한 부분"에서 영어로 쓰라는 말이 간혹나오는건가요 아니면 매회차마다 한문제씩은 나오는건가요..?
4. 예전엔 영어 약자를 길게 풀어 쓰라는 문제가 나오던데 요즘도 그런문제가 나오나요?
(1~4번 질문 모두 정보처리기사말고 산업기사 기준입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변]
전산영어에 대한 부분은 용어들을 영문으로 외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기출문제들을 풀어보셨으면 아시겠으나 실제 전산영어 문제들은 모두 일반 전산 용어, 신기술 용어, 보안 용어에 해당합니다. 해당 용어들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으시다면 영문으로 나온다고 하더라도 풀이하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영어능력에 대한 기본역량이 필요합니다.)
(영문으로 나오는 용어문제는 다른 신기술 용어, 보안 용어 문제보다 난이도가 낮습니다.)
2. [답변]
기출문제 등에서 실제 문제가 어떤식으로 출제되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문제에서 직접 지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용어를 영문 3글자 약어로 쓰시오." 같은 식으로 말이죠.
다만 이러한 지시사항이 없는 경우 약어든 영어 풀네임이든 상관없습니다.
3. [답변]
? 정확히 어떤 문제를 지칭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보안용어 또는 신기술 용어에서 정답을 쓸 때 '영문 풀네임으로 쓰시오', 아니면 '영문 3글자 약어로 쓰시오' 정도를 지시합니다.
서술형을 영문으로 작성하라는 경우는 없으며, 별개로 예전에 이런 문제가 나온적이 있습니다.
아래 약어를 풀네임으로 쓰시오
[USB]
( )
요렇게요. 다만 최근 실기 시험이 개정된 이후로 이러한 문제는 나온적이 없습니다.
4.[답변]
아.. 3번에서 말씀드린 질문이네요. 최근에는 없습니다.
* 산업기사와 기사의 실기 문제 유형은 거의 동일합니다. 난이도만 산업기사가 조금 낮을 뿐이죠.
-
관리자2019-02-21 10:44:0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변]
전산영어에 대한 부분은 용어들을 영문으로 외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기출문제들을 풀어보셨으면 아시겠으나 실제 전산영어 문제들은 모두 일반 전산 용어, 신기술 용어, 보안 용어에 해당합니다. 해당 용어들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으시다면 영문으로 나온다고 하더라도 풀이하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영어능력에 대한 기본역량이 필요합니다.)
(영문으로 나오는 용어문제는 다른 신기술 용어, 보안 용어 문제보다 난이도가 낮습니다.)
2. [답변]
기출문제 등에서 실제 문제가 어떤식으로 출제되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문제에서 직접 지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용어를 영문 3글자 약어로 쓰시오." 같은 식으로 말이죠.
다만 이러한 지시사항이 없는 경우 약어든 영어 풀네임이든 상관없습니다.
3. [답변]
? 정확히 어떤 문제를 지칭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보안용어 또는 신기술 용어에서 정답을 쓸 때 '영문 풀네임으로 쓰시오', 아니면 '영문 3글자 약어로 쓰시오' 정도를 지시합니다.
서술형을 영문으로 작성하라는 경우는 없으며, 별개로 예전에 이런 문제가 나온적이 있습니다.
아래 약어를 풀네임으로 쓰시오
[USB]
( )
요렇게요. 다만 최근 실기 시험이 개정된 이후로 이러한 문제는 나온적이 없습니다.
4.[답변]
아.. 3번에서 말씀드린 질문이네요. 최근에는 없습니다.
* 산업기사와 기사의 실기 문제 유형은 거의 동일합니다. 난이도만 산업기사가 조금 낮을 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