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21페이지 1번에 정답이 50000입니다. 50000이란건 그냥 임의의 수죠?
시험문제에 이런 막연한 숫자가 나온다면, 처음 비교할 수는 50000이라고 지시사항에 나올것같아서요..
지시사항에 M의 초기값에 언급이없다면 100000부터 나눠도 오답처리는 안되는거죠?
푸는사람이 힘들뿐이지, 디버깅은 잘됩니다.
2. 5번에 정답이 TM[K]=TM[K]+DATA.PM[K]입니다.
이것을 풀어보면
TM은 전부 0으로 초기화 되어있고
PM은 모두 1이 들어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1=0+1
2=1+1
3=2+1
4=3+1 ...
즉, TM배열의 1번엔 1이, 2번엔 2가, 3번엔 3이 ... 이렇게 채워지지 않나요..?
즉 배열의 주소가 뒤로갈수록 누적되버리는 엉뚱한 상황이 발생됩니다..
이부분에서 막혔네요..
3. 반드시 구조체 변수 DATA.PM을 적어야하나요? C언어 코드가 아닌 순서도에도 구조체 양식을 따라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글 내용과 무관한데..
왜 제 회원 이름이 "이하나"로 되어있는건가요? 해킹당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변]
예, 맞습니다.
해당 순서도의 경우 초기값이 5만인 것은 문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의 <출력 형식>을 보면 금액 표시중 가장 높은 금액이 '오만'이라고 적혀있기 때문에, 50000이 입력되는 것이 맞습니다.
만약 실제 문제에서 지시사항으로 금액 표시가 따로 10만이든, 50만이든 언급이 되어 있다면 그것으로 바꾸어 줘야겠죠.
2. [답변]
질문의 요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TM[10]은 PM[10]의 각 요소들을 누적 저장합니다.
만약 첫번째로 A가 5만원권(PM[1]이 되겠죠)을 5장 썼다고 가정할 때,
TM[1] = TM[1] + PM[1] 이 되어 TM[1]은 5가 되고
두 번째로 B가 5만원권을 3장 썼다고 가정할 때,
TM[1] = [TM[1] + PM[1] 을 수행하고 나면 TM[1]은 8이 될 것입니다.
PM의 각 요소의 값은 누적되는 것이 아닌 새로 배정되게 되어 있고(순서도 10번 PM[K]=INT(T/M)),
TM은 사람마다 변화하는 PM의 요소들을 누적하여 마지막에 '전체 화폐 매수'로 출력하기 위함이니, 해당 순서도와 같이 작성되는 것이 맞습니다.
3. [답변]
순서도는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는 것으로 매우 가변적입니다.
실제 문제에서 <처리조건> 또는 순서도의 다른 부분에서 구조체 형식으로 변수들을 활용했다면 그 방식 그대로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이 문제에서도 구조체 DATA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변수 PM[10], N, P 만을 사용했다면 구조체 명칭 'DATA.'은 빠져야겠죠. 하지만 이를 '변수 설명'과 순서도의 다른 부분에서 활용해 주었으므로, 그대로 적어줘야 합니다.
* 작성자는 '이하나 ( dlehd502@naver.com )'로 표시됩니다.
계정과 관련된 사항은 고객센터에 문의해주세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9-02-18 13:28:5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변]
예, 맞습니다.
해당 순서도의 경우 초기값이 5만인 것은 문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의 <출력 형식>을 보면 금액 표시중 가장 높은 금액이 '오만'이라고 적혀있기 때문에, 50000이 입력되는 것이 맞습니다.
만약 실제 문제에서 지시사항으로 금액 표시가 따로 10만이든, 50만이든 언급이 되어 있다면 그것으로 바꾸어 줘야겠죠.
2. [답변]
질문의 요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TM[10]은 PM[10]의 각 요소들을 누적 저장합니다.
만약 첫번째로 A가 5만원권(PM[1]이 되겠죠)을 5장 썼다고 가정할 때,
TM[1] = TM[1] + PM[1] 이 되어 TM[1]은 5가 되고
두 번째로 B가 5만원권을 3장 썼다고 가정할 때,
TM[1] = [TM[1] + PM[1] 을 수행하고 나면 TM[1]은 8이 될 것입니다.
PM의 각 요소의 값은 누적되는 것이 아닌 새로 배정되게 되어 있고(순서도 10번 PM[K]=INT(T/M)),
TM은 사람마다 변화하는 PM의 요소들을 누적하여 마지막에 '전체 화폐 매수'로 출력하기 위함이니, 해당 순서도와 같이 작성되는 것이 맞습니다.
3. [답변]
순서도는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는 것으로 매우 가변적입니다.
실제 문제에서 <처리조건> 또는 순서도의 다른 부분에서 구조체 형식으로 변수들을 활용했다면 그 방식 그대로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이 문제에서도 구조체 DATA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변수 PM[10], N, P 만을 사용했다면 구조체 명칭 'DATA.'은 빠져야겠죠. 하지만 이를 '변수 설명'과 순서도의 다른 부분에서 활용해 주었으므로, 그대로 적어줘야 합니다.
* 작성자는 '이하나 ( dlehd502@naver.com )'로 표시됩니다.
계정과 관련된 사항은 고객센터에 문의해주세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