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번보시면 K가 1일때 9번 10번을 수행후 -1로 인해 K가 0이되어 1이될때까지이므로 0<=1이 되어
K값이 계속 감소하면 계속 참이되서 무한반복일뿐더러 순서도에선 배열주소가 1부터 시작이라 A[0]이라는것이 올 수 없지 않나요?
i가 크면모를까.. 1이라서 이 반복문 자체가 성립이 안됩니다.
아니면 1:1, 0:1, -1:1, -2:1의 형식으로 무한반복할것같으면 그냥 0:1일때 반복문을 빠져나오는건가요?
원래 알고리즘 반복문의 경우는 비교값과 같아질때까지 반복아닌가요.
일단, 순서도를 C언어처럼 바꿔보겠습니다.
i=2 ; i<=10 ; i++(294쪽 6번)
K=i-1 ; K>= 1 ; K-- (294쪽 8번)
이처럼 부등호가 이렇게되어야 거짓이되어 순서도의 반복문을 빠져나가는것을 알 수 있는데,
원래 제가 지금까지 알고있었던 순서도의 부등호는 6번과 같습니다.
즉, 8번이 순서도만봐서는 반복문을 왜 빠져나가는지, 왜 부등호가 반대인지는 알수없지않나요.
앞서 얘기했듯이 그냥 반복문자체가 성립이안되서 반복문을 빠져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안쪽 반복문 K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반복 K=i-1 , 1, -1 이라는 의미는 변수 K가 i-1로 시작하여 1이 될 때까지 -1을 더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i가 2인 시점에서는 k는 1에서 1회 반복후 0이 되면서 반복문을 벗어나게 되죠.
C의 for문으로 변경하신 것은 정확합니다.
순서도에서 부등호가 반대인 것은 마지막 증감수를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양수인 경우 < 또는 <=를 생각하고, 음수인 경우 > 또는 >=를 생각해야 하죠.
반복문 자체가 성립이 되지 않아서 빠져나온다기 보다, 증감수에 따라 수험자가 스스로 부등호를 예상해야 된다고 봐야 합니다.
회원님이 말씀하신대로 해당 부등호가 어떤 것인지 표기해주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 되겠으나, 실제 시험에서도 해당 순서도와 같이 출제되니 해당 반복문의 표현에 익숙해 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9-02-15 10:55: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안쪽 반복문 K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반복 K=i-1 , 1, -1 이라는 의미는 변수 K가 i-1로 시작하여 1이 될 때까지 -1을 더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i가 2인 시점에서는 k는 1에서 1회 반복후 0이 되면서 반복문을 벗어나게 되죠.
C의 for문으로 변경하신 것은 정확합니다.
순서도에서 부등호가 반대인 것은 마지막 증감수를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양수인 경우 < 또는 <=를 생각하고, 음수인 경우 > 또는 >=를 생각해야 하죠.
반복문 자체가 성립이 되지 않아서 빠져나온다기 보다, 증감수에 따라 수험자가 스스로 부등호를 예상해야 된다고 봐야 합니다.
회원님이 말씀하신대로 해당 부등호가 어떤 것인지 표기해주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 되겠으나, 실제 시험에서도 해당 순서도와 같이 출제되니 해당 반복문의 표현에 익숙해 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