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의 실기 내용중
(클래스테스트: 구조적 기법에서의 단위 테스트와 같은 개념으로 가장 작은 단위, 즉 캡슐화된 클래스나 객체를 검사하는것)이 모범답안인데,
1. 구조적 기법에서의 단위 테스트와 같은 개념
2. 가장 작은 단위, 즉 캡슐화된 클래스나 객체를 검사하는것
모범답안의 특징을 두가지로 분류하여 두개중 하나만 써도 정답처리 되려나요?
위 문장을 정확하게 두가지 모두 쓰지않으면 일부만 정답으로하여 부분점수로 주려나요?
비슷한 예시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델중 파이프 필터 구조(Pipes and Filters Architecture)의 개념을 서술하시오.
(데이터의 흐름을 점진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아키텍처이다.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이 각 필터에 캡슐화되어 있으며, 데이터는 인접필터사이의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형태이다.)가 모범 답안인데
1. 데이터의 흐름을 점진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것
2.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이 각 필터에 캡슐화되어 있고, 인접필터사이의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것
이 두가지중 하나만 써도 정답처리되나요?
지인들은 시험관님의 역량에 따라 부분점수만 줄 수 있다고 하는데..
만일 서술형의 문장을 다 외워야 확실하게 맞춘다고 가정 한다면..
서술형(예상문제, 기사, 산기기출문제)들을 달달 외우는데 엄청나게 방대한 시간과 노력이 들것같습니다..
(비전공자 입장에선.. 많이 보고 읽으면 C언어나 알고리즘정도는 어느정도 감이 오는데 이러한 서술형은 감조차 잘 오지 않는경우가 많아서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첫번째 '클래스 테스트'와 같은 경우, 둘 모두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용어를 설명할 수 있고, 혼동되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둘 모두 정답이 됩니다.
두번째의 '파이프 필터 구조'에서는
두번 째에서 좀 더 첨언하여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이 각 필터에 캡슐화되어 있고, 인접필터사이의 파이프를 통해 전달하는 구조 또는 아키텍처"라고 해주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참고로 최신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알 수 있겠으나, 2017년 실기문제 개정 이후에는 서술형 문제가 거의 출제되지 않고 있습니다. (초기 1~2회에만 한 두 문제)
최근에는 주로 '정보 보호', '신기술' 두가지 과목에서 4~5개의 지문을 놓고 해당 용어를 맞추는 방식으로 나오고 있으므로, 서술형을 대비해 암기하는 것보다 해당 중심 개념을 잡고 넓게(여러 용어를) 파악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1-30 14:07:4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첫번째 '클래스 테스트'와 같은 경우, 둘 모두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용어를 설명할 수 있고, 혼동되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둘 모두 정답이 됩니다.
두번째의 '파이프 필터 구조'에서는
두번 째에서 좀 더 첨언하여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이 각 필터에 캡슐화되어 있고, 인접필터사이의 파이프를 통해 전달하는 구조 또는 아키텍처"라고 해주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참고로 최신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알 수 있겠으나, 2017년 실기문제 개정 이후에는 서술형 문제가 거의 출제되지 않고 있습니다. (초기 1~2회에만 한 두 문제)
최근에는 주로 '정보 보호', '신기술' 두가지 과목에서 4~5개의 지문을 놓고 해당 용어를 맞추는 방식으로 나오고 있으므로, 서술형을 대비해 암기하는 것보다 해당 중심 개념을 잡고 넓게(여러 용어를) 파악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1-31 10:24:23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데이터의 흐름을 점진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것' 이라는 말은 생각보다 다양한 것을 떠오르게 합니다. 데이터의 흐름이 프로세스인지 통신인지도 애매하고, 단순히 '점진적 처리 시스템을 위한 구조'는 자료구조,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네트워크 등 더 포함하는게 많아지죠.
공단에서 채점기준을 공개하지 않아 부분 점수를 제공할지는 알수 없으나, 확실한 정답이 되기 위해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적어줘야 할 것 같습니다.
기사와 산업기사는 거의 동일하게 출제됩니다.
(기사가 난이도가 조금 높지만, 거의 동일한 수준에 동일한 유형)
산업기사와 기사의 실기가 합본으로 출판된 것도 그와 같은 이유입니다.
게다가 2017년 개정된 이후 누적된 문제가 적기 때문에 기사의 기출문제 또한 함께 공부하시는 것이 실제 시험을 연습하는데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2019-01-30 15:46:47
답변많은도움이되었습니다.
파이프필터의구조의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점진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것"
은 정답처리가 되려나요. 교제에 나온 설명 그대로라 틀린만은 아닌것같아서요..
그리고 혹여나 정보처리기사에서 출제된 실기 문제들도 암기하는게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