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구조체는 각종 변수나 배열 등을 저장하는 하나의 '주머니'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코드나 순서도를 보시면 선언된 구조체 안에 배열이나, 변수 등이 들어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를 접근할 때
[구조체명].[변수 또는 배열명]
으로 접근합니다.
100개의 구조체 배열을 만든 것은 자료의 입력이 제한이 없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100개를 생성해 둔 것입니다.
(100개의 구조체 배열을 선언한 것은 100개의 주머니를 만들어 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char[4] 형은 4개의 문자열을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변수 ban에는 "1반", "2반" 등이 저장되어야 하니, 숫자는 1바이트, 한글은 2바이트를 차지하고, 문자열에는 마지막에 널값이 들어가야 하므로 1바이트를 고려하여, 총 4바이트의 문자형 변수를 생성하였습니다.
자료형에 대한 설명은 교재 51p, 52p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9-01-03 10:30:2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구조체는 각종 변수나 배열 등을 저장하는 하나의 '주머니'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코드나 순서도를 보시면 선언된 구조체 안에 배열이나, 변수 등이 들어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를 접근할 때
[구조체명].[변수 또는 배열명]
으로 접근합니다.
100개의 구조체 배열을 만든 것은 자료의 입력이 제한이 없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100개를 생성해 둔 것입니다.
(100개의 구조체 배열을 선언한 것은 100개의 주머니를 만들어 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char[4] 형은 4개의 문자열을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변수 ban에는 "1반", "2반" 등이 저장되어야 하니, 숫자는 1바이트, 한글은 2바이트를 차지하고, 문자열에는 마지막에 널값이 들어가야 하므로 1바이트를 고려하여, 총 4바이트의 문자형 변수를 생성하였습니다.
자료형에 대한 설명은 교재 51p, 52p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