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tmp[q]로 나누는 것은 소수를 구하는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한 것입니다.
소수를 구하기 위해서 2부터 차례대로 나누는 방법도 있으나, 자신의 수보다 앞선 소수로 나누어 떨어지는지만 확인해도 소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tmp[1]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바깥 반복문이 홀수만을 반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죠.(p=5, 1000, 2)
int가 붙지 않은 이유는 <처리조건>에서 이미 언급되었기 떄문입니다.
392p의 <처리조건>을 보시면, 3번에 "연산자 중 ‘/ ’는 나누기를 의미하며 나누어 진 값에서 소수점 이하는 자동으로 절삭된다."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처리조건>에 따라 순서도에 여러 변동사항이 존재할 수 있으니 유념에 두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9-01-02 14:14:43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tmp[q]로 나누는 것은 소수를 구하는 방식 중 하나를 이용한 것입니다.
소수를 구하기 위해서 2부터 차례대로 나누는 방법도 있으나, 자신의 수보다 앞선 소수로 나누어 떨어지는지만 확인해도 소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tmp[1]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바깥 반복문이 홀수만을 반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죠.(p=5, 1000, 2)
int가 붙지 않은 이유는 <처리조건>에서 이미 언급되었기 떄문입니다.
392p의 <처리조건>을 보시면, 3번에 "연산자 중 ‘/ ’는 나누기를 의미하며 나누어 진 값에서 소수점 이하는 자동으로 절삭된다."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처리조건>에 따라 순서도에 여러 변동사항이 존재할 수 있으니 유념에 두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