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사 241p 문의합니당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241
조회수
400
작성일
2018-12-23
작성자
탈퇴*원
정보처리기사 실기 241p 아래 붙임 그림에서 배열B가 하는 역활 이랑 B[i+2] = B[i+2] + A[i] 이것은 a의 배열을 누적하는 걸로 알구 있는데, 왜 누적할때 B[3] 부터 누적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2018-12-24 14:11:17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배열의 크기를 보시기 바랍니다. 배열 A와 배열 B는 각각 12자리와 14자리로 서로 크기가 다릅니다.

당연히 12자리의 수를 몇개 받아들일지 모르니 두 자리 수를 더 크게 잡은 것이지요. 

 

이것은 출력할 때 배열을 앞에서부터 출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3]의 123을 출력한다면

A[1], A[2], A[3]을 출력하게 되죠.

 

이것을 크기가 다른 배열 B[5]에 넣는다고 가정했을 때, B[1]은 만의 자리에 해당합니다. A[1]은 백의 자리에 들어가야 됨에도 말이죠. 이 때 +2를 해줍니다.

B[1+2] = 1, B[2+2] = 2, B[3+2] = 3

이렇게 넣고 B[1], B[2], B[3], B[4], B[5]를 차례대로 출력하게 되면

00123이 되죠.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배열 A의 12자리의 수를 배열 B의 14자리 수에 넣기 위해서는 자리 수를 맞춰줘야 합니다.

때문에 +2를 해서 자리 수를 미룬 것이지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
    2018-12-24 14:11:17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배열의 크기를 보시기 바랍니다. 배열 A와 배열 B는 각각 12자리와 14자리로 서로 크기가 다릅니다.

    당연히 12자리의 수를 몇개 받아들일지 모르니 두 자리 수를 더 크게 잡은 것이지요. 

     

    이것은 출력할 때 배열을 앞에서부터 출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3]의 123을 출력한다면

    A[1], A[2], A[3]을 출력하게 되죠.

     

    이것을 크기가 다른 배열 B[5]에 넣는다고 가정했을 때, B[1]은 만의 자리에 해당합니다. A[1]은 백의 자리에 들어가야 됨에도 말이죠. 이 때 +2를 해줍니다.

    B[1+2] = 1, B[2+2] = 2, B[3+2] = 3

    이렇게 넣고 B[1], B[2], B[3], B[4], B[5]를 차례대로 출력하게 되면

    00123이 되죠.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배열 A의 12자리의 수를 배열 B의 14자리 수에 넣기 위해서는 자리 수를 맞춰줘야 합니다.

    때문에 +2를 해서 자리 수를 미룬 것이지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
    2019-03-18 11:46:3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수를 합산한 결과가 배열 b에 저장되어있습니다.

    b가 몇번째 자리부터 출력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위치가 3번 보기입니다.

     

    3번 보기에서는 b[1]이 0이라면 b[2]부터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0이 아니라면 b[1]부터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
    2019-03-16 17:49:05

    241p

    3번 보기

    왜 B[1]=0을 확인해야 하나요? 잘모르겠네요 ㅠㅠ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