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값으로7을 입력받음 디버깅결과 j값이 223223452234567이렇게나오는데 j값이 원래 234567 이렇게나오는게아닙니까? 이렇게 나오는이유를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k와j를 어떻게대응시켜야 mod(k,j)값이나오게 할수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제가 질문을 정확히 이해한 것인지 확신할 수 없으나 답변드리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입력받은 값 A(7)가 존재한다면
2부터 A(7)까지의 수 2, 3, 4, 5, 6, 7(각 수는 변수 K)의 수 중에서 소수를 구해 더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즉, 각 수에 대해 모두 소수판별을 해야한다는 의미이죠.
1. 2(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2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2. 3(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3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3)
3. 4(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4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 2에서 나누어 떨어지므로 순서도 8번으로 넘어가 순서도 11번에서 K값에 1이 더해집니다.
4. 5(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5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3, 4, 5)
5. 6(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6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 2에서 나누어 떨어지므로 순서도 8번으로 넘어가 순서도 11번에서 K값에 1이 더해집니다.
6. 7(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7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3, 4, 5, 6, 7)
이와 같이 mod(k, j)값이 도출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8-12-20 09:39:2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제가 질문을 정확히 이해한 것인지 확신할 수 없으나 답변드리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입력받은 값 A(7)가 존재한다면
2부터 A(7)까지의 수 2, 3, 4, 5, 6, 7(각 수는 변수 K)의 수 중에서 소수를 구해 더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즉, 각 수에 대해 모두 소수판별을 해야한다는 의미이죠.
1. 2(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2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2. 3(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3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3)
3. 4(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4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 2에서 나누어 떨어지므로 순서도 8번으로 넘어가 순서도 11번에서 K값에 1이 더해집니다.
4. 5(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5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3, 4, 5)
5. 6(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6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 2에서 나누어 떨어지므로 순서도 8번으로 넘어가 순서도 11번에서 K값에 1이 더해집니다.
6. 7(K)의 소수를 판별하기 위해 J값을 2부터 7까지 K를 J로 mod값을 구합니다. (2, 3, 4, 5, 6, 7)
이와 같이 mod(k, j)값이 도출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