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여러가지 질문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조회수
73
작성일
2018-10-03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2권 326쪽에 DLP(Digital Light Processing)를 DLP(Data Leakage Prevention)로 바꿔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답변]

예, Data Leakage Prevention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의 내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만 출제된지 시일이 꽤 지난 문제라 교재에서 내용을 찾을 수 없는 단어이기에 비교적 최신 단어인 후자인 DLP(Data Leakage Prevention)로 바꿀 예정입니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의 내용은 교재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답변이 이해가 안가네요. 그럼 Digital Light Processing=Data Leakage Prevention이란 말씀인가요?

2. 속성값과 튜플이란 의미가 헤깔립니다.

<학생>

이름

학번(PK)

전공(FK)

성별

생년월일

김갑

0502

C185

1989-01-02

이을

0803

B465

1991-11-16

박병

1302

A222

1993-03-22

이것도 어제 질문한 내용인데

속성은 이름, 학번, 전공, 성별, 생년월일 인건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속성값의 의미가 헤깔린다는 질문이였습니다.

속성값은 이름속성에선 김갑,이을,박병

학번속성에선 0502,0803,1302

굵은 글씨로 쓴게 맞나요? 책에서 어쩔땐 속성이라하고 어쩔땐 속성값이라고 하는데 이 둘의 의미가 제가 예로 든것이 맞나요?

3. 2권 117에서 호스트 프로그램 언어라고 적혀있는 용어가 있는데 8쪽에 호스트 프로그래 언어라고 뜻이 같은 언어가 있습니다. 둘 중 하나는 오타아닌가요?

4.2권 145쪽에 예제4번에 보면 수강테이블의 담당교수 속성도 기본키라고 표시해놨는데 굳이 담당교수 속성을 기본키라고 해야하나요? 안해도 상관없을거 같습니다.

5.2권 171쪽 commit연산은 트랜잭션 수행 후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영구히 반영하는 것이고

rollback연산은 변경된 내용을 모두 취소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전상태를 돌리는 것이라고 정의 해도 되지요?

답변
2018-10-04 18:44:18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326쪽에 DLP(Digital Light Processing)를 DLP(Data Leakage Prevention)로 바꿔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답변]

해당 문제는 내용가 정답은 옳으나, 곧 삭제될 예정인 문제로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교재에 없는 내용인 Digital Light Processing가 사용된 문제로, 다음 교재에서 삭제 및 수정 될 예정입니다.

2. 속성값과 튜플이란 의미가 헤깔립니다.

[답변]

말씀하신 예가 맞습니다.

속성값은 속성에 해당하는 튜플의 값을 의미하죠.

튜플은 하나의 행, 레코드에 해당합니다.

즉, 튜플은 ('김갑', 0502, C185, '남', '1989-01-02')에 해당하며, '이름' 속성의 속성값은 '김갑', '이을', '박병'이 됩니다.

3. 2권 117에서 호스트 프로그램 언어라고 적혀있는 용어가 있는데 8쪽에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뜻이 같은 언어가 있습니다. 둘 중 하나는 오타아닌가요?

[답변]

'프로그램 언어'와 '프로그래밍 언어'는 동의어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언어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언어로 구분할 수 있겠으나, 실질적으로는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4.2권 145쪽에 예제4번에 보면 수강테이블의 담당교수 속성도 기본키라고 표시해놨는데 굳이 담당교수 속성을 기본키라고 해야하나요? 안해도 상관없을거 같습니다.

[답변]

<수강> 테이블의 '학번' 속성과 '담당교수' 속성은 복합키에 해당합니다.
학번과 담당교수 속성 모두 중복된 속성값이 있기 때문에 복합키로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5.2권 171쪽 commit연산은 트랜잭션 수행 후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영구히 반영하는 것이고

rollback연산은 변경된 내용을 모두 취소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전상태를 돌리는 것이라고 정의 해도 되지요?

[답변]

예, 맞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8-10-04 18:44:18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326쪽에 DLP(Digital Light Processing)를 DLP(Data Leakage Prevention)로 바꿔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답변]

    해당 문제는 내용가 정답은 옳으나, 곧 삭제될 예정인 문제로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교재에 없는 내용인 Digital Light Processing가 사용된 문제로, 다음 교재에서 삭제 및 수정 될 예정입니다.

    2. 속성값과 튜플이란 의미가 헤깔립니다.

    [답변]

    말씀하신 예가 맞습니다.

    속성값은 속성에 해당하는 튜플의 값을 의미하죠.

    튜플은 하나의 행, 레코드에 해당합니다.

    즉, 튜플은 ('김갑', 0502, C185, '남', '1989-01-02')에 해당하며, '이름' 속성의 속성값은 '김갑', '이을', '박병'이 됩니다.

    3. 2권 117에서 호스트 프로그램 언어라고 적혀있는 용어가 있는데 8쪽에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뜻이 같은 언어가 있습니다. 둘 중 하나는 오타아닌가요?

    [답변]

    '프로그램 언어'와 '프로그래밍 언어'는 동의어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언어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언어로 구분할 수 있겠으나, 실질적으로는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4.2권 145쪽에 예제4번에 보면 수강테이블의 담당교수 속성도 기본키라고 표시해놨는데 굳이 담당교수 속성을 기본키라고 해야하나요? 안해도 상관없을거 같습니다.

    [답변]

    <수강> 테이블의 '학번' 속성과 '담당교수' 속성은 복합키에 해당합니다.
    학번과 담당교수 속성 모두 중복된 속성값이 있기 때문에 복합키로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5.2권 171쪽 commit연산은 트랜잭션 수행 후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영구히 반영하는 것이고

    rollback연산은 변경된 내용을 모두 취소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전상태를 돌리는 것이라고 정의 해도 되지요?

    [답변]

    예, 맞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