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갑지기 기본적인 것이 헷갈리네요 .....
1권 344 쪽 문제에서 괄호 1번에 for문에서 J가 반복할때 처음에 들어갈 때는 -1을 않해주고
처음에 들어갈때는 초기값 i만으로 들어가서 사용하고 다음에 다시 돌아와서 그땐 i에 -1을
해주고 다시 반복문으로 들어가서 행열로 쓰이는 건가요?
2. 285쪽 2권
괄호 3번의 답안에서 손망실변상심의요청이 아닌 "손망실에 따른 변상심의를 요청" 이렇게 적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3. 1권 113 쪽
'사용자' 그리고 문제 4번에서 CASCADE 대신에 GRAINT OPTION FOR를 사용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grant option for는 정답 해설에서 나와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미가 없는 문구입니다.
update 권한을 취소시키면 해당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이 동시에 취소되기 때문입니다.
*** 여기서 부터 설명 주신 부분이 이해가 안됩니다.
하지만 이미 다른 사람에게 부여한 권한을 취소시키는 cascade가 없다면 '임꺽정'이 다른 사람들에게 부여한 권한(예를 들어 '임꺽정'이 취소 전에 '홍길동' update 권한을 부여했다면)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cascade가 없으면, 오답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1권 344 쪽 문제에서 괄호 1번에 for문에서 J가 반복할때 처음에 들어갈 때는 -1을 않해주고 처음에 들어갈때는 초기값 i만으로 들어가서 사용하고 다음에 다시 돌아와서 그땐 i에 -1을 해주고 다시 반복문으로 들어가서 행열로 쓰이는 건가요?
[답변]
맞습니다.
처음에는 초기값을 갖고, 조건이 맞는지 확인한 후 내부로 진입합니다.
반복문 i의 첫 횟전에서 i가 1인경우 반복문 J는
J=1, 1, -1
이 되므로, 한 번 회전한 후 반복문을 벗어나게 됩니다.
2. 285쪽 2권 괄호 3번의 답안에서 손망실변상심의요청이 아닌 "손망실에 따른 변상심의를 요청" 이렇게 적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답변]
업무 프로세스의 답변과 관련하여서는 기본적으로 지문에 있는 용어를 그대로 적어주거나, 그 의미에 맞게 주변 서식에 맞춰 적어주시면 됩니다.
해당 답안은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시험은 명확한 채점 기준을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확답을 드리는 것은 어렵습니다.)
3. 하지만 이미 다른 사람에게 부여한 권한을 취소시키는 cascade가 없다면 '임꺽정'이 다른 사람들에게 부여한 권한(예를 들어 '임꺽정'이 취소 전에 '홍길동' update 권한을 부여했다면)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cascade가 없으면, 오답이 됩니다.
[답변]
grant option for와 cascade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합니다.
grant option for는 다른 이에게 권한을 주는 권한을 제거하고,
cascade는 위의 권한을 통해 권한을 준 사람들의 권한까지 제거하는 것이지요.
관리자가 A에게 업데이트 권한과 함께 업데이트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권한까지 줬다고 가정합니다. A는 작업중에 편의를 위해 B와 C에게 업데이트 권한을 주었죠. 이때 revoke를 통해 A의 권한을 없앨 때 grant option for를 사용한다면, A는 B와 C에게 업데이트 권한을 준 것과 같이 다른 사람에 업데이트 권한을 주는 권한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권한을 준 B와 C의 업데이트 권한은 그대로 남아있게 되죠.
만약 cascade를 사용했다면 A가 권한을 준 B, C의 업데이트 권한까지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10-04 11:47:37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1권 344 쪽 문제에서 괄호 1번에 for문에서 J가 반복할때 처음에 들어갈 때는 -1을 않해주고 처음에 들어갈때는 초기값 i만으로 들어가서 사용하고 다음에 다시 돌아와서 그땐 i에 -1을 해주고 다시 반복문으로 들어가서 행열로 쓰이는 건가요?
[답변]
맞습니다.
처음에는 초기값을 갖고, 조건이 맞는지 확인한 후 내부로 진입합니다.
반복문 i의 첫 횟전에서 i가 1인경우 반복문 J는
J=1, 1, -1
이 되므로, 한 번 회전한 후 반복문을 벗어나게 됩니다.
2. 285쪽 2권 괄호 3번의 답안에서 손망실변상심의요청이 아닌 "손망실에 따른 변상심의를 요청" 이렇게 적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답변]
업무 프로세스의 답변과 관련하여서는 기본적으로 지문에 있는 용어를 그대로 적어주거나, 그 의미에 맞게 주변 서식에 맞춰 적어주시면 됩니다.
해당 답안은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시험은 명확한 채점 기준을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확답을 드리는 것은 어렵습니다.)
3. 하지만 이미 다른 사람에게 부여한 권한을 취소시키는 cascade가 없다면 '임꺽정'이 다른 사람들에게 부여한 권한(예를 들어 '임꺽정'이 취소 전에 '홍길동' update 권한을 부여했다면)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cascade가 없으면, 오답이 됩니다.
[답변]
grant option for와 cascade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합니다.
grant option for는 다른 이에게 권한을 주는 권한을 제거하고,
cascade는 위의 권한을 통해 권한을 준 사람들의 권한까지 제거하는 것이지요.
관리자가 A에게 업데이트 권한과 함께 업데이트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권한까지 줬다고 가정합니다. A는 작업중에 편의를 위해 B와 C에게 업데이트 권한을 주었죠. 이때 revoke를 통해 A의 권한을 없앨 때 grant option for를 사용한다면, A는 B와 C에게 업데이트 권한을 준 것과 같이 다른 사람에 업데이트 권한을 주는 권한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권한을 준 B와 C의 업데이트 권한은 그대로 남아있게 되죠.
만약 cascade를 사용했다면 A가 권한을 준 B, C의 업데이트 권한까지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