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CTION 19 의 3번 괄호에서 BIG - MOK x SMALL 답안을
(MOK x SMALL) - BIG 으로 작성해도 정답이 되나요?
2. 284쪽의 유형 3 문제에서 3번괄호의 답을 D [i] < D [i-1] 로 작성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3. 그리고 284쪽의 반복문에서 Right-1 과 Left+1 같이 사용하는 것은 변수를 따로 선언 안해줘도 되는 건가요?
4. 100 쪽 left outer join일 때는 '좌측 속성에 우측 속성에 해당하는 값들을 부여하라' 라는 의미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좌측을 기준으로 해서 좌측에 없는 값들만 우측에서 선별해 우측에 있는 속성 값을
좌측에 넣으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SECTION 19 의 3번 괄호에서 BIG - MOK x SMALL 답안을 (MOK x SMALL) - BIG 으로 작성해도 정답이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NMG가 음수값을 갖게 됨으로, 결과가 음수로 출력되어 오답이 됩니다.
2. 284쪽의 유형 3 문제에서 3번괄호의 답을 D [i] < D [i-1] 로 작성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답변]
예, 정답입니다.
'D[i-1] > D[i]' 와 'D[i] < D[i-1]'는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므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그리고 284쪽의 반복문에서 Right-1 과 Left+1 같이 사용하는 것은 변수를 따로 선언 안해줘도 되는 건가요?
[답변]
예, 괜찮습니다.
Right-1이나 Left+1을 저장한 변수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과, 그대로 사용해도 동일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C 또는 Java 프로그래밍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4. 100 쪽 left outer join일 때는 '좌측 속성에 우측 속성에 해당하는 값들을 부여하라' 라는 의미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좌측을 기준으로 해서 좌측에 없는 값들만 우측에서 선별해 우측에 있는 속성 값을 좌측에 넣으라는 건가요??
[답변]
아닙니다.
99쪽(inner join)과 102쪽(outer join)의 SQL문과 결과를 비교하면서 확인해보세요.
좌측 테이블에 우측 테이블의 값들을 조인하여 부여할 때는, 좌측 테이블의 값이 우측 테이블에 없더라도 좌측 테이블은 모두 출력하게 됩니다.
inner join을 사용하게 되면 두 테이블이 일치하는 값들만 출력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죠.
(inner join을 사용하면 102쪽 상단의 <결과>에서 '박치민'은 빠지게 될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10-04 11:08:50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SECTION 19 의 3번 괄호에서 BIG - MOK x SMALL 답안을 (MOK x SMALL) - BIG 으로 작성해도 정답이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NMG가 음수값을 갖게 됨으로, 결과가 음수로 출력되어 오답이 됩니다.
2. 284쪽의 유형 3 문제에서 3번괄호의 답을 D [i] < D [i-1] 로 작성해도 정답으로 인정되나요?
[답변]
예, 정답입니다.
'D[i-1] > D[i]' 와 'D[i] < D[i-1]'는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므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그리고 284쪽의 반복문에서 Right-1 과 Left+1 같이 사용하는 것은 변수를 따로 선언 안해줘도 되는 건가요?
[답변]
예, 괜찮습니다.
Right-1이나 Left+1을 저장한 변수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과, 그대로 사용해도 동일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C 또는 Java 프로그래밍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4. 100 쪽 left outer join일 때는 '좌측 속성에 우측 속성에 해당하는 값들을 부여하라' 라는 의미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좌측을 기준으로 해서 좌측에 없는 값들만 우측에서 선별해 우측에 있는 속성 값을 좌측에 넣으라는 건가요??
[답변]
아닙니다.
99쪽(inner join)과 102쪽(outer join)의 SQL문과 결과를 비교하면서 확인해보세요.
좌측 테이블에 우측 테이블의 값들을 조인하여 부여할 때는, 좌측 테이블의 값이 우측 테이블에 없더라도 좌측 테이블은 모두 출력하게 됩니다.
inner join을 사용하게 되면 두 테이블이 일치하는 값들만 출력되는 것과 비교할 수 있죠.
(inner join을 사용하면 102쪽 상단의 <결과>에서 '박치민'은 빠지게 될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