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번 답변에서 객체가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된다는 말은 거짓에 가깝고 굳이 따지자면 객체는 속성들로 이루어진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1섹션에서는 객체가 데이터와 함수를 캡슐화한 소프트웨어 모듈이라고 되어있습니다.
1섹션에 의하면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져있는건가요?
또 데이터와 함수가 각각 속성과 메소드와 같은 의미는 아니므로 객체가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은 오류에 가까운건가요?
2.
102섹션에서 사이버 협박(cyber bullying)과 사이버 스토킹(Cyber Stalking)의 차이가 뭔가요?
3.
DDL(데이터 정의어)에서 ALTER(변경)은 테이블에만 해당하는 명령문인데
DDL의 정의를 교재 표현에 덧붙여서 '스키마, 인덱스, 뷰, 테이블, 도메인, 제약조건, 트리거를 정의하거나 변경, 제거할 때 사용되는 언어'라고 해도 되나요?
4.
create index에서 [cluster] 조건이 있는데 이는 문제에서 해당 조건이 명시되었을 때 쓰는지, 아니면 문제 속에서 유추해서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지난번 답변에서 객체가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된다는 말은 거짓에 가깝고 굳이 따지자면 객체는 속성들로 이루어진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1섹션에서는 객체가 데이터와 함수를 캡슐화한 소프트웨어 모듈이라고 되어있습니다.
1섹션에 의하면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져있는건가요?
또 데이터와 함수가 각각 속성과 메소드와 같은 의미는 아니므로 객체가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은 오류에 가까운건가요?
[답변]
먼저 이를 논하기 전에 각 객체가 무엇을 가르키는지 확실히 아셔야 합니다.
'객체지향 기법'(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논하는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진 하나의 모듈을 의미합니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서 논하는 '객체'는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개체를 DB화를 위해 추상화 시킨 것을 의미입니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를 보면, '객체 지향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영향을 받아 생성된 객체 지향 기술과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결합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객체지향 기법에서 파생된 '객체'의 개념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게 되면 여기에서의 '객체'는 하나의 인스턴스가 되겠죠. 클래스에서 정의된 속성을 이용하여 구성되었고,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소드를 수행하는 인스턴스로 말이죠.
각 파트에서 '객체'라고 이름붙여 사용되는 용어들의 명확한 정의는 해당 과목의 전공도서를 참고하심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을 위해서는 각 파트에서 '객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만 알고 넘어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2.102섹션에서 사이버 협박(cyber bullying)과 사이버 스토킹(Cyber Stalking)의 차이가 뭔가요?
[답변]
일반적인 '협박'과 '스토킹'의 차이와 같습니다.
'협박'과 달리 '스토킹'은 반복적,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3. DDL(데이터 정의어)에서 ALTER(변경)은 테이블에만 해당하는 명령문인데 DDL의 정의를 교재 표현에 덧붙여서 '스키마, 인덱스, 뷰, 테이블, 도메인, 제약조건, 트리거를 정의하거나 변경, 제거할 때 사용되는 언어'라고 해도 되나요?
[답변]
질문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DDL에 위 내용을 쓰신 것이라면, 정답에 해당합니다.
4. create index에서 [cluster] 조건이 있는데 이는 문제에서 해당 조건이 명시되었을 때 쓰는지, 아니면 문제 속에서 유추해서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실제로 클러스터가 SQL문에 출제된 기록이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클러스터가 SQL문에 등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는 <처리 조건> 또는 문제에서 명확히 언급될 가능성이 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10-04 10:45:16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지난번 답변에서 객체가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된다는 말은 거짓에 가깝고 굳이 따지자면 객체는 속성들로 이루어진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1섹션에서는 객체가 데이터와 함수를 캡슐화한 소프트웨어 모듈이라고 되어있습니다.
1섹션에 의하면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져있는건가요?
또 데이터와 함수가 각각 속성과 메소드와 같은 의미는 아니므로 객체가 속성과 메소드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은 오류에 가까운건가요?
[답변]
먼저 이를 논하기 전에 각 객체가 무엇을 가르키는지 확실히 아셔야 합니다.
'객체지향 기법'(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논하는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진 하나의 모듈을 의미합니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서 논하는 '객체'는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개체를 DB화를 위해 추상화 시킨 것을 의미입니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를 보면, '객체 지향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영향을 받아 생성된 객체 지향 기술과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결합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객체지향 기법에서 파생된 '객체'의 개념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게 되면 여기에서의 '객체'는 하나의 인스턴스가 되겠죠. 클래스에서 정의된 속성을 이용하여 구성되었고,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소드를 수행하는 인스턴스로 말이죠.
각 파트에서 '객체'라고 이름붙여 사용되는 용어들의 명확한 정의는 해당 과목의 전공도서를 참고하심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을 위해서는 각 파트에서 '객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만 알고 넘어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2.102섹션에서 사이버 협박(cyber bullying)과 사이버 스토킹(Cyber Stalking)의 차이가 뭔가요?
[답변]
일반적인 '협박'과 '스토킹'의 차이와 같습니다.
'협박'과 달리 '스토킹'은 반복적,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3. DDL(데이터 정의어)에서 ALTER(변경)은 테이블에만 해당하는 명령문인데 DDL의 정의를 교재 표현에 덧붙여서 '스키마, 인덱스, 뷰, 테이블, 도메인, 제약조건, 트리거를 정의하거나 변경, 제거할 때 사용되는 언어'라고 해도 되나요?
[답변]
질문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DDL에 위 내용을 쓰신 것이라면, 정답에 해당합니다.
4. create index에서 [cluster] 조건이 있는데 이는 문제에서 해당 조건이 명시되었을 때 쓰는지, 아니면 문제 속에서 유추해서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실제로 클러스터가 SQL문에 출제된 기록이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클러스터가 SQL문에 등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는 <처리 조건> 또는 문제에서 명확히 언급될 가능성이 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