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권 97쪽 예제에
WHEN new_table.학년=' '이 문장이 학년이 널값일때 란 의미인거 같은데
select문의 where에선 null일때 IS NULL을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WHEN도 가능한가요? WHEN new_table IS NULL도 되나요?
2. 2권 103쪽에 예제엔 선배가 있는 학생과 선배의 이름을 표시하라고 했지 학번을 표시하란 말이 문제에 없습니다.
왜 학번 속성을 함께 표시한건가요?
3. 속성값과 튜플이란 의미가 헤깔립니다.
속성값이란 속성(열)의 한 값이고 튜플이란 행을 뜻하는거 맞나요?
<학생>
이름 |
학번(PK) |
전공(FK) |
성별 |
생년월일 |
김갑 |
0502 |
C185 |
남 |
1989-01-02 |
이을 |
0803 |
B465 |
여 |
1991-11-16 |
박병 |
1302 |
A222 |
남 |
1993-03-22 |
학생이란 테이블에 있을때 속성값이란 이름 속성의 김갑, 전공속성 의 C185 등이 속성값인가요?
튜플은
김갑 |
0502 |
C185 |
남 |
1989-01-02 |
이 행을 말하는 건가요?
4. 책에서의 무결성의 의미가 와닫지 않아 따로 정리해봤는데 틀린 부분이 있는지 봐주셨으면 합니다.
널 무결성-특정 속성값이 널이 될수 없음
고유 무결성-특정 속성의 속성값은 서로 달라야함
도메인 무결성-속성값은 그 속성에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여야함
키 무결성-하나의 릴레이션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함
관계 무결성-한 릴레이션과 다른 릴레이션의 튜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절성 여부
참조 무결성-외래키 속성값은 널이거나 참조릴레이션의 기본키 속성값과 동일해야함
개체 무결성-기본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속성값은 널일수 없음.
또한 여기서 참조 무결성의 외래키 속성값은 널일수 있다.는 말은 외래키의 속성값 전체가 널일수 있단 말인가요?
이름 |
학번(PK) |
전공(FK) |
성별 |
생년월일 |
김갑 |
0502 |
NULL |
남 |
1989-01-02 |
이을 |
0803 |
NULL |
여 |
1991-11-16 |
박병 |
1302 |
NULL |
남 |
1993-03-22 |
이란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97쪽 예제에
WHEN new_table.학년=' '이 문장이 학년이 널값일때 란 의미인거 같은데
select문의 where에선 null일때 IS NULL을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WHEN도 가능한가요? WHEN new_table IS NULL도 되나요?
[답변]
예, 가능합니다.
2. 2권 103쪽에 예제엔 선배가 있는 학생과 선배의 이름을 표시하라고 했지 학번을 표시하란 말이 문제에 없습니다.
왜 학번 속성을 함께 표시한건가요?
[답변]
결과 그림이 함께 제시되는 경우에는 결과를 보고 출력할 필드를 선정하면 됩니다.
3. 속성값과 튜플이란 의미가 헤깔립니다.
속성값이란 속성(열)의 한 값이고 튜플이란 행을 뜻하는거 맞나요?
<학생>
이름 |
학번(PK) |
전공(FK) |
성별 |
생년월일 |
김갑 |
0502 |
C185 |
남 |
1989-01-02 |
이을 |
0803 |
B465 |
여 |
1991-11-16 |
박병 |
1302 |
A222 |
남 |
1993-03-22 |
학생이란 테이블에 있을때 속성값이란 이름 속성의 김갑, 전공속성 의 C185 등이 속성값인가요?
튜플은
김갑 |
0502 |
C185 |
남 |
1989-01-02 |
이 행을 말하는 건가요?
[답변]
속성은 '이름', '학번', '전공', '성별', '생년월일'을 말합니다.
튜플은 각각의 행을 말합니다.
4. 책에서의 무결성의 의미가 와닫지 않아 따로 정리해봤는데 틀린 부분이 있는지 봐주셨으면 합니다.
널 무결성-특정 속성값이 널이 될수 없음
고유 무결성-특정 속성의 속성값은 서로 달라야함
도메인 무결성-속성값은 그 속성에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여야함
키 무결성-하나의 릴레이션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함
관계 무결성-한 릴레이션과 다른 릴레이션의 튜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절성 여부
참조 무결성-외래키 속성값은 널이거나 참조릴레이션의 기본키 속성값과 동일해야함
개체 무결성-기본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속성값은 널일수 없음.
[답변]
맞습니다.
또한 여기서 참조 무결성의 외래키 속성값은 널일수 있다.는 말은 외래키의 속성값 전체가 널일수 있단 말인가요?
이름 |
학번(PK) |
전공(FK) |
성별 |
생년월일 |
김갑 |
0502 |
NULL |
남 |
1989-01-02 |
이을 |
0803 |
NULL |
여 |
1991-11-16 |
박병 |
1302 |
NULL |
남 |
1993-03-22 |
이란 말인가요?
[답변]
속성값 전체가 Null 일 수 있다는 것은 아니며, 속성 값에 Null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10-02 09:14:16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97쪽 예제에
WHEN new_table.학년=' '이 문장이 학년이 널값일때 란 의미인거 같은데
select문의 where에선 null일때 IS NULL을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WHEN도 가능한가요? WHEN new_table IS NULL도 되나요?
[답변]
예, 가능합니다.
2. 2권 103쪽에 예제엔 선배가 있는 학생과 선배의 이름을 표시하라고 했지 학번을 표시하란 말이 문제에 없습니다.
왜 학번 속성을 함께 표시한건가요?
[답변]
결과 그림이 함께 제시되는 경우에는 결과를 보고 출력할 필드를 선정하면 됩니다.
3. 속성값과 튜플이란 의미가 헤깔립니다.
속성값이란 속성(열)의 한 값이고 튜플이란 행을 뜻하는거 맞나요?
<학생>
이름
학번(PK)
전공(FK)
성별
생년월일
김갑
0502
C185
남
1989-01-02
이을
0803
B465
여
1991-11-16
박병
1302
A222
남
1993-03-22
학생이란 테이블에 있을때 속성값이란 이름 속성의 김갑, 전공속성 의 C185 등이 속성값인가요?
튜플은
김갑
0502
C185
남
1989-01-02
이 행을 말하는 건가요?
[답변]
속성은 '이름', '학번', '전공', '성별', '생년월일'을 말합니다.
튜플은 각각의 행을 말합니다.
4. 책에서의 무결성의 의미가 와닫지 않아 따로 정리해봤는데 틀린 부분이 있는지 봐주셨으면 합니다.
널 무결성-특정 속성값이 널이 될수 없음
고유 무결성-특정 속성의 속성값은 서로 달라야함
도메인 무결성-속성값은 그 속성에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여야함
키 무결성-하나의 릴레이션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함
관계 무결성-한 릴레이션과 다른 릴레이션의 튜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절성 여부
참조 무결성-외래키 속성값은 널이거나 참조릴레이션의 기본키 속성값과 동일해야함
개체 무결성-기본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속성값은 널일수 없음.
[답변]
맞습니다.
또한 여기서 참조 무결성의 외래키 속성값은 널일수 있다.는 말은 외래키의 속성값 전체가 널일수 있단 말인가요?
이름
학번(PK)
전공(FK)
성별
생년월일
김갑
0502
NULL
남
1989-01-02
이을
0803
NULL
여
1991-11-16
박병
1302
NULL
남
1993-03-22
이란 말인가요?
[답변]
속성값 전체가 Null 일 수 있다는 것은 아니며, 속성 값에 Null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