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페이지 171 ② p < 77 또는 p <= 76
이 부분에서 p가 77을 포함한 결과가 나와야 되기 때문에 p < 78 또는 p <= 77 이 답이 아닌가요?
페이지 172 의 ② 이 이런 식으로 풀이가 된 것 같은데 똑같이 적용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2. 페이지 203 ⑩ A[E+1]
이 부분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배열 A에 E의 값을 넣는 작업을 따로 하지 않고 ⑩에서 바로 출력하는건가요?
교재에 적혀있는 설명을 읽어도 헷갈리네요.
3. 페이지 397
문제 8번의 처리 조건과 해설이 맞는건가요?
문제에는 홀수행 열의 위치가 왼쪽에서 오른쪽, 짝수행 열의 위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숫자가 기억되어 있는데
해설에서는 홀수행 열의 위치가 4~0, 짝수행 열의 위치가 0~4 으로 나와 있습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거라면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변]
조건문의 위치에 따라 조건에 적용되는 값은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해당 코드에 p가 76일때 디버깅을 돌려보면 파악할 수 있습니다.
p가 76인 경우 while(p<77)는 참이 되어 p++로 이동합니다.
p는 77이 되어 q=78-77, m=1*77, h+=m을 수행합니다.
2. [답변]
변수 설명과 순서도1번 해설에 '배열A는 '0~9, A~F는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언급하고 있습니다.
해당 값을 넣는 과정이 알고리즘 학습과 상관없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제외하였습니다.
A[E+1] 인 이유는 몫을 가리키는 변수 E가 1인 경우 배열A에서 숫자 1을 찾아 출력해야 하는데, 배열A의 경우 0부터 저장되어 숫자가 하나씩 밀려 저장되어 있으므로 E+1에 해당하는 주소로 출력하는 것입니다.
3. [답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배열은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유념해 두고 해설을 다시 읽어보세요.
실제 문제에서 보는 5행 5열의 배열을 C언어로 옮기게 되면 위치값을 0부터 다시 계산하여야 합니다.
즉, 문제의 행열은 1 3 5행은 좌에서 우, 2 4 행은 우에서 좌이지만,
프로그램에서는 0 2 4행이 좌에서 우, 1 3 행이 우에서 좌가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10-02 10:10:26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변]
조건문의 위치에 따라 조건에 적용되는 값은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해당 코드에 p가 76일때 디버깅을 돌려보면 파악할 수 있습니다.
p가 76인 경우 while(p<77)는 참이 되어 p++로 이동합니다.
p는 77이 되어 q=78-77, m=1*77, h+=m을 수행합니다.
2. [답변]
변수 설명과 순서도1번 해설에 '배열A는 '0~9, A~F는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언급하고 있습니다.
해당 값을 넣는 과정이 알고리즘 학습과 상관없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제외하였습니다.
A[E+1] 인 이유는 몫을 가리키는 변수 E가 1인 경우 배열A에서 숫자 1을 찾아 출력해야 하는데, 배열A의 경우 0부터 저장되어 숫자가 하나씩 밀려 저장되어 있으므로 E+1에 해당하는 주소로 출력하는 것입니다.
3. [답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배열은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유념해 두고 해설을 다시 읽어보세요.
실제 문제에서 보는 5행 5열의 배열을 C언어로 옮기게 되면 위치값을 0부터 다시 계산하여야 합니다.
즉, 문제의 행열은 1 3 5행은 좌에서 우, 2 4 행은 우에서 좌이지만,
프로그램에서는 0 2 4행이 좌에서 우, 1 3 행이 우에서 좌가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