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8년 1회차 기사 기출 질문있습니다.
(1) 문제 1번에 '완전 함수 종속' 개념을 서술하는 것이 있는데 교재 2권 139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정의로 써도 되나요?
(2) 마찬가지로 '함수적 종속'의 개념을 서술하는 문제가 나오면 2권 137페이지에 '어떤 테이블 R에서~'로 시작하는 문장을 기입해도 되나요?
(3) '부분 함수 종속' 개념은 교재 2권 139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정의로 써도 되나요?
(4) 검사점 기법은 REDO, UNDO 작업을 모두 수행하나요?
(5) 문제 6번 Java코드에서 'System.out.printf(E[a]+"\t")' 형식이 생소한데 무슨 의미인가요?
출력형식을 %로 나타낸 것이 없는데 'System.out.printf("%d\t", E[a])'로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6) 문제 6번에서 'System.out.println()'은 그냥 한 줄 이동하라는 의미인가요?
(7) 문제 9번의 '스니핑' 개념을 '단말에 숨어서 전송되는 패킷의 내용을 도청하는 행위이다'라고 쓰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018년 1회차 기사 기출 질문있습니다.
(1) 문제 1번에 '완전 함수 종속' 개념을 서술하는 것이 있는데 교재 2권 139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정의로 써도 되나요?
[답변]
예, 괜찮습니다.
동일한 내용을 설명하는 문구라면 어떻게 쓰셔도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마찬가지로 '함수적 종속'의 개념을 서술하는 문제가 나오면 2권 137페이지에 '어떤 테이블 R에서~'로 시작하는 문장을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예, 그렇습니다.
그와 같은 설명 방식은 독자들이 조금 더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문구라 조금 길 수 있으나, 동일한 내용을 설명하는 글이므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부분 함수 종속' 개념은 교재 2권 139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정의로 써도 되나요?
[답변]
예, 괜찮습니다.
(4) 검사점 기법은 REDO, UNDO 작업을 모두 수행하나요?
[답변]
검사점 기법은 Redo나 Undo를 수행할 때 좀 더 효율적으로 로그를 분석하는 기법에 해당합니다.
검사점 기법이 Redo, Undo 작업을 수행한다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5) 문제 6번 Java코드에서 'System.out.printf(E[a]+"\t")' 형식이 생소한데 무슨 의미인가요?
출력형식을 %로 나타낸 것이 없는데 'System.out.printf("%d\t", E[a])'로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두번째로 쓰신 형태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Java에서만 사용 가능한 형태로 서식문자 없이 자료형 그대로 출력됩니다.
(6) 문제 6번에서 'System.out.println()'은 그냥 한 줄 이동하라는 의미인가요?
[답변]
예, 맞습니다.
System.out.printf("\n")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7) 문제 9번의 '스니핑' 개념을 '단말에 숨어서 전송되는 패킷의 내용을 도청하는 행위이다'라고 쓰면 안되나요?
[답변]
'단말'이라는 단어가 조금 애매합니다.
스니핑은 네트워크 신호가 오가는 사이에서 라우터 등에서 패킷 정보를 빼가는 행위입니다.
'네트워크 단말'에 라우터가 포함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10-01 19:43:39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018년 1회차 기사 기출 질문있습니다.
(1) 문제 1번에 '완전 함수 종속' 개념을 서술하는 것이 있는데 교재 2권 139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정의로 써도 되나요?
[답변]
예, 괜찮습니다.
동일한 내용을 설명하는 문구라면 어떻게 쓰셔도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마찬가지로 '함수적 종속'의 개념을 서술하는 문제가 나오면 2권 137페이지에 '어떤 테이블 R에서~'로 시작하는 문장을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예, 그렇습니다.
그와 같은 설명 방식은 독자들이 조금 더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문구라 조금 길 수 있으나, 동일한 내용을 설명하는 글이므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부분 함수 종속' 개념은 교재 2권 139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정의로 써도 되나요?
[답변]
예, 괜찮습니다.
(4) 검사점 기법은 REDO, UNDO 작업을 모두 수행하나요?
[답변]
검사점 기법은 Redo나 Undo를 수행할 때 좀 더 효율적으로 로그를 분석하는 기법에 해당합니다.
검사점 기법이 Redo, Undo 작업을 수행한다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5) 문제 6번 Java코드에서 'System.out.printf(E[a]+"\t")' 형식이 생소한데 무슨 의미인가요?
출력형식을 %로 나타낸 것이 없는데 'System.out.printf("%d\t", E[a])'로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두번째로 쓰신 형태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Java에서만 사용 가능한 형태로 서식문자 없이 자료형 그대로 출력됩니다.
(6) 문제 6번에서 'System.out.println()'은 그냥 한 줄 이동하라는 의미인가요?
[답변]
예, 맞습니다.
System.out.printf("\n")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7) 문제 9번의 '스니핑' 개념을 '단말에 숨어서 전송되는 패킷의 내용을 도청하는 행위이다'라고 쓰면 안되나요?
[답변]
'단말'이라는 단어가 조금 애매합니다.
스니핑은 네트워크 신호가 오가는 사이에서 라우터 등에서 패킷 정보를 빼가는 행위입니다.
'네트워크 단말'에 라우터가 포함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