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실기 1권 질문이요~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357
조회수
27
작성일
2018-09-2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먼저 355쪽에서 안쪽 반복문의 반복 변수 J는 행번호로 시작하고 왜? 임의의 숫자로 끝낼 수 있도록 변수를 지정하는 건가요?

왜 임의의 숫자로 끝내는 거죠??

2. 351쪽에서도 왜 안쪽 반목문의 반복 변수 J를 임의의 숫자로 시작하고 끝낼 수 있도록 하는 건가요??

3. 357쪽에 중간 행을 계산할 때 왜 +1을 해주는 건가요? 지금은 5행5열이라 중간 행을 계산하면 3이

나오지만 만약에 6행6열이면 중간행 계산했을 때 4가 나오잖아요?? 그러면 +1을 하면 안되는 거 아닌가요?

그냥 M = INT(X/2) 이렇게 사용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답변
2018-09-28 16:58:3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먼저 355쪽에서 안쪽 반복문의 반복 변수 J는 행번호로 시작하고 왜? 임의의 숫자로 끝낼 수 있도록 변수를 지정하는 건가요?

왜 임의의 숫자로 끝내는 거죠??

[답변]

..질문의 요지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임의의 숫자로 끝낼 수 있도록 변수를 지정한다'라는 의미는 5, 4, 3, 4, 5 로 변화하는 '열의 끝'을 별도의 변수를 두어 값을 변화하며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왜 이런 방식으로 푸는 것이냐고 물어보신다면, 해당 알고리즘을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 방법을 선택하여 해결하기로 결정했다 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 351쪽에서도 왜 안쪽 반목문의 반복 변수 J를 임의의 숫자로 시작하고 끝낼 수 있도록 하는 건가요??

[답변]

'임의의 숫자'라는 의미를 오해하고 계신듯 합니다.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설명하고 있는 '임의의 숫자'는 변화하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특정 수치로 정해진 값이 아닌 행열의 변화에 따라 값이 변화할 수 있는 숫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들을 순서도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변수'를 활용하겠다는 의미이지요.

3. 357쪽에 중간 행을 계산할 때 왜 +1을 해주는 건가요? 지금은 5행5열이라 중간 행을 계산하면 3이 나오지만 만약에 6행6열이면 중간행 계산했을 때 4가 나오잖아요?? 그러면 +1을 하면 안되는 거 아닌가요? 그냥 M = INT(X/2) 이렇게 사용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답변]

문제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모래시계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배열은 홀수의 행열이 필요합니다.

문제에서는 '단, 배열의 크기는 홀수로만 입력이 가능하고, 여기에서는 5를 입력 받았다고 가정한다.' 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8-09-28 16:58:3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먼저 355쪽에서 안쪽 반복문의 반복 변수 J는 행번호로 시작하고 왜? 임의의 숫자로 끝낼 수 있도록 변수를 지정하는 건가요?

    왜 임의의 숫자로 끝내는 거죠??

    [답변]

    ..질문의 요지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임의의 숫자로 끝낼 수 있도록 변수를 지정한다'라는 의미는 5, 4, 3, 4, 5 로 변화하는 '열의 끝'을 별도의 변수를 두어 값을 변화하며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왜 이런 방식으로 푸는 것이냐고 물어보신다면, 해당 알고리즘을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 방법을 선택하여 해결하기로 결정했다 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 351쪽에서도 왜 안쪽 반목문의 반복 변수 J를 임의의 숫자로 시작하고 끝낼 수 있도록 하는 건가요??

    [답변]

    '임의의 숫자'라는 의미를 오해하고 계신듯 합니다.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설명하고 있는 '임의의 숫자'는 변화하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특정 수치로 정해진 값이 아닌 행열의 변화에 따라 값이 변화할 수 있는 숫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들을 순서도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변수'를 활용하겠다는 의미이지요.

    3. 357쪽에 중간 행을 계산할 때 왜 +1을 해주는 건가요? 지금은 5행5열이라 중간 행을 계산하면 3이 나오지만 만약에 6행6열이면 중간행 계산했을 때 4가 나오잖아요?? 그러면 +1을 하면 안되는 거 아닌가요? 그냥 M = INT(X/2) 이렇게 사용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답변]

    문제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모래시계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배열은 홀수의 행열이 필요합니다.

    문제에서는 '단, 배열의 크기는 홀수로만 입력이 가능하고, 여기에서는 5를 입력 받았다고 가정한다.' 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