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권 44쪽 문제 1번에 괄호 4번에서 '대응수'는 안된다고 답변을 읽었습니다.
그런데 2권 34쪽 좌측 하단에 '카디널리티 = 튜플의 수 = 기수 = 대응수'라고 되어있는데 어느것이 맞는건가요?
또 실제 문제에서 릴레이션의 튜플의 수 자체를 '~릴레이션의 대응수'로 물을 경우는 희박한가요?
2. 2016년 1회 기사 알고리즘 과목 질문있습니다
(1)
알고리즘 문제에서 변수 설명이나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원리설명은 없나요?
(2)
혹시 교재에서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내용이 있나요?
3.
2016년 2회 기사 알고리즘 변수에서 SMALL과 J의 설명이 똑같은데 J는 SMALL부터 LARGE까지 변하므로 J의 설명에서 '시작'을 빼야하지 않나요?
4.
후보키 중 특별히 선택된 키가 기본키이므로, 후보키도 기본키와 마찬가지로 Null값,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는거죠?
5.
2018년도 2회 기사/산업기사 기출은 언제 올라오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44쪽 문제 1번에 괄호 4번에서 '대응수'는 안된다고 답변을 읽었습니다.
그런데 2권 34쪽 좌측 하단에 '카디널리티 = 튜플의 수 = 기수 = 대응수'라고 되어있는데 어느것이 맞는건가요?
[답변]
조금 다릅니다.
'튜플의 수 = 대응 수'는 일견 의미가 통하는 말입니다.
각 속성과 대응하는 인자(값)라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대응 수'라는 단어 자체가 관계형 데이터 모델, 릴레이션을 표현할 때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며, 해석상의 차이로 오답으로 인정될 소지가 있으므로 사용을 지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표현 '대응 수'는 삭제될 예정입니다.)
또 실제 문제에서 릴레이션의 튜플의 수 자체를 '~릴레이션의 대응수'로 물을 경우는 희박한가요?
[답변]
예, 실제 문제에서 튜플의 수를 '대응 수'라고 표현된 적이 없습니다.
관련 전문 서적 또는 대학교재에서나 출현하는 용어 입니다.
2. 2016년 1회 기사 알고리즘 과목 질문있습니다
(1) 알고리즘 문제에서 변수 설명이나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원리설명은 없나요?
[답변]
예, 없었습니다.
자주 출제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은 없으나, 최근 문제들에서는 <처리조건>에서 각 변수에 대한 설명이나 간단한 알고리즘 해설이 적혀있는 경우가 많으니, 전혀 알지못하는 알고리즘이 출현하여 곤라함을 겪을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2) 혹시 교재에서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내용이 있나요?
[답변]
예, 섹션019, 188쪽에서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3. 2016년 2회 기사 알고리즘 변수에서 SMALL과 J의 설명이 똑같은데 J는 SMALL부터 LARGE까지 변하므로 J의 설명에서 '시작'을 빼야하지 않나요?
[답변]
예,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4. 후보키 중 특별히 선택된 키가 기본키이므로, 후보키도 기본키와 마찬가지로 Null값,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는거죠?
[답변]
예, 맞습니다.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본키와 동일하게 NULL값과 중복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5. 2018년도 2회 기사/산업기사 기출은 언제 올라오나요?
[답변]
현재 올라와 있는 상태입니다.
[시험대비자료] 코너를 확인해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28 14:53:1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2권 44쪽 문제 1번에 괄호 4번에서 '대응수'는 안된다고 답변을 읽었습니다.
그런데 2권 34쪽 좌측 하단에 '카디널리티 = 튜플의 수 = 기수 = 대응수'라고 되어있는데 어느것이 맞는건가요?
[답변]
조금 다릅니다.
'튜플의 수 = 대응 수'는 일견 의미가 통하는 말입니다.
각 속성과 대응하는 인자(값)라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대응 수'라는 단어 자체가 관계형 데이터 모델, 릴레이션을 표현할 때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며, 해석상의 차이로 오답으로 인정될 소지가 있으므로 사용을 지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표현 '대응 수'는 삭제될 예정입니다.)
또 실제 문제에서 릴레이션의 튜플의 수 자체를 '~릴레이션의 대응수'로 물을 경우는 희박한가요?
[답변]
예, 실제 문제에서 튜플의 수를 '대응 수'라고 표현된 적이 없습니다.
관련 전문 서적 또는 대학교재에서나 출현하는 용어 입니다.
2. 2016년 1회 기사 알고리즘 과목 질문있습니다
(1) 알고리즘 문제에서 변수 설명이나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원리설명은 없나요?
[답변]
예, 없었습니다.
자주 출제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은 없으나, 최근 문제들에서는 <처리조건>에서 각 변수에 대한 설명이나 간단한 알고리즘 해설이 적혀있는 경우가 많으니, 전혀 알지못하는 알고리즘이 출현하여 곤라함을 겪을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2) 혹시 교재에서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내용이 있나요?
[답변]
예, 섹션019, 188쪽에서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3. 2016년 2회 기사 알고리즘 변수에서 SMALL과 J의 설명이 똑같은데 J는 SMALL부터 LARGE까지 변하므로 J의 설명에서 '시작'을 빼야하지 않나요?
[답변]
예,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4. 후보키 중 특별히 선택된 키가 기본키이므로, 후보키도 기본키와 마찬가지로 Null값,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는거죠?
[답변]
예, 맞습니다.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본키와 동일하게 NULL값과 중복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5. 2018년도 2회 기사/산업기사 기출은 언제 올라오나요?
[답변]
현재 올라와 있는 상태입니다.
[시험대비자료] 코너를 확인해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