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도 상에서 어떤 코드 변화에 관계없이 가장 처음의 값은 변환할 값의 첫 값을 그대로 가져오는데
답안에는 CONT[1] = INPUT[2]로 되어있는이유가
정의된 배열의 길이가 달라 맞추기 위함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아닙니다.
236쪽 상단에 있는 순서도의 <조건>을 잘 살펴보세요.
• 배열의 첫 번째 비트가 0이면 나머지 네 개의 비트는 이진수이므로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 배열의 첫 번째 비트가 1이면 나머지 네 개의 비트는 그레이 코드이므로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즉, 배열의 첫 번째 비트는 2진수 또는 그레이 코드로 변환할 값이 아닌, INPUT[2]~INPUT[5]까지의 4자리 2진수 값을 이진수로 변환할지, 그레이코드로 변환할지 결정하는 인자입니다.
때문에 CONT[1]=INPUT[2]는 해설에서 설명하는 "첫 번째 비트를 그대로 옮긴다."를 실행한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27 19:37:18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아닙니다.
236쪽 상단에 있는 순서도의 <조건>을 잘 살펴보세요.
• 배열의 첫 번째 비트가 0이면 나머지 네 개의 비트는 이진수이므로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 배열의 첫 번째 비트가 1이면 나머지 네 개의 비트는 그레이 코드이므로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즉, 배열의 첫 번째 비트는 2진수 또는 그레이 코드로 변환할 값이 아닌, INPUT[2]~INPUT[5]까지의 4자리 2진수 값을 이진수로 변환할지, 그레이코드로 변환할지 결정하는 인자입니다.
때문에 CONT[1]=INPUT[2]는 해설에서 설명하는 "첫 번째 비트를 그대로 옮긴다."를 실행한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