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여러가지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조회수
58
작성일
2018-09-23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2016년도 1회차 산업기사 데이터베이스 질문있습니다.

주어진 보기가 없었다면 괄호 3번에는 차수, 디그리

괄호 4번에는 기수, 대응수, 카디널리티로 적어도 맞는 말인가요?

특히 괄호 4번은 앞에 '릴레이션'이라는 말이 붙었으므로 '카디널리티(cardinality)'만 정답인가요?

2. 2016년도 1회차 기사 데이터베이스 질문있습니다.

괄호 4, 5번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저는 cascade/restrict 옵션을 drop 명령어에 대한 옵션으로 알고 있는데

'참조무결성 제약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삭제 뿐만 아니라 갱신에 대해서도 cascade/retrict이 해당되나요?

또 <표5>에 의해 create table 문에서 on delete, on update 옵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괄호 4, 5번에 cascade, no action, set null, set default 값 중에 선택하여 써야하는줄 알았는데

on delete, on update 옵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restrict도 있는건가요?

답변
2018-09-27 19:03:21

1. 2016년도 1회차 산업기사 데이터베이스 질문있습니다.

주어진 보기가 없었다면 괄호 3번에는 차수, 디그리 괄호 4번에는 기수, 대응수, 카디널리티로 적어도 맞는 말인가요?

특히 괄호 4번은 앞에 '릴레이션'이라는 말이 붙었으므로 '카디널리티(cardinality)'만 정답인가요?

[답변]

아닙니다.

3번에 차수, 디그리, 4번에 기수, 카디널리티 모두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응 수의 경우 이전에 설명드린 것과 마찬가지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염려가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쓰기에는 어려운 용어입니다.

2. 2016년도 1회차 기사 데이터베이스 질문있습니다.

괄호 4, 5번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저는 cascade/restrict 옵션을 drop 명령어에 대한 옵션으로 알고 있는데

'참조무결성 제약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삭제 뿐만 아니라 갱신에 대해서도 cascade/retrict이 해당되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외래키를 설정할 때 참조 속성 값이 삭제되거나(on delete) 변경되었을 때(on update) cascad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표5>에 의해 create table 문에서 on delete, on update 옵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괄호 4, 5번에 cascade, no action, set null, set default 값 중에 선택하여 써야하는줄 알았는데 on delete, on update 옵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restrict도 있는건가요?

[답변]

restrict는 따로 설정하지 않습니다.

만약 외래키를 설정할 때, on delete나 on update 옵션을 설정해 두지 않으면 참조 속성에 속하는 개체들을 변경하거나 지우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기본값을 restrict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 *
    2018-09-27 19:03:21

    1. 2016년도 1회차 산업기사 데이터베이스 질문있습니다.

    주어진 보기가 없었다면 괄호 3번에는 차수, 디그리 괄호 4번에는 기수, 대응수, 카디널리티로 적어도 맞는 말인가요?

    특히 괄호 4번은 앞에 '릴레이션'이라는 말이 붙었으므로 '카디널리티(cardinality)'만 정답인가요?

    [답변]

    아닙니다.

    3번에 차수, 디그리, 4번에 기수, 카디널리티 모두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응 수의 경우 이전에 설명드린 것과 마찬가지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염려가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쓰기에는 어려운 용어입니다.

    2. 2016년도 1회차 기사 데이터베이스 질문있습니다.

    괄호 4, 5번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저는 cascade/restrict 옵션을 drop 명령어에 대한 옵션으로 알고 있는데

    '참조무결성 제약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삭제 뿐만 아니라 갱신에 대해서도 cascade/retrict이 해당되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외래키를 설정할 때 참조 속성 값이 삭제되거나(on delete) 변경되었을 때(on update) cascad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표5>에 의해 create table 문에서 on delete, on update 옵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괄호 4, 5번에 cascade, no action, set null, set default 값 중에 선택하여 써야하는줄 알았는데 on delete, on update 옵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restrict도 있는건가요?

    [답변]

    restrict는 따로 설정하지 않습니다.

    만약 외래키를 설정할 때, on delete나 on update 옵션을 설정해 두지 않으면 참조 속성에 속하는 개체들을 변경하거나 지우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기본값을 restrict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