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여러가지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조회수
53
작성일
2018-09-2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86섹션 질문있습니다.

(1)

81섹션에서 인덱스의 종류로 m-원 검색트리, B-트리, B*-트리, B+-트리가 제시되었는데

2권 194쪽 '인덱스 종류'에는 해당 트리가 없습니다.

상기 트리들이 표현되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2)

2권 194쪽에 있는 용어인 '분포도'의 영문 표기가 궁금합니다.

2.

87섹션 기출따라잡기 문제 1번 질문있습니다.

(1)

괄호 1번에 '메소드' 대신에 '함수'라고 기입해도 되나요?

(2)

객체 구성요소인 데이터, 함수에 대해 각각 별칭들이 많은데, 이와 같은 문항에 답을 기입할 때, 교재에 제시된 답 이외에 별칭을 기입해도 되나요?

예를 들어 '속성'을 '데이터', '상태', '상수', '변수' 등으로, '메소드'를 '함수', '연산', '동작' 등으로 기입해도 되나요?

3. 88섹션 질문있습니다.

(1)

DNS에서 S는 Service, Server, System을 나타내는 것이 맞나요?

(2)

Service, Server, System일 때 DNS 용어의 의미는 모두 동일한가요?

(3)

군집화와 군집화 기법들의 정의를 기술할 때 문장 끝에 '~기 위한 기법'을 '~하는 기법'이라고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2018-09-27 17:29:2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86섹션 질문있습니다.

(1) 81섹션에서 인덱스의 종류로 m-원 검색트리, B-트리, B*-트리, B+-트리가 제시되었는데, 2권 194쪽 '인덱스 종류'에는 해당 트리가 없습니다. 상기 트리들이 표현되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194쪽의 '인덱스 종류'는 인덱스 튜닝에 사용되는 (또는 시험에 출제되는) 인덱스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2) 2권 194쪽에 있는 용어인 '분포도'의 영문 표기가 궁금합니다.

[답변]

분포도에 대한 정확한 영문 명칭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굳이 영문명으로 표기한다면 distribution coefficient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2.87섹션 기출따라잡기 문제 1번 질문있습니다.

(1) 괄호 1번에 '메소드' 대신에 '함수'라고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메소드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사용되는 위치를 혼동하지 마세요.

메소드 : 객체에 수행될 연산, 즉 객체의 속성 값에 대한 변경이나 검색을 기술한 것

또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서 함수의 정의는 언급되지 않습니다.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범위 외) 쪽에서나 등장할 듯 싶네요.

(2) 객체 구성요소인 데이터, 함수에 대해 각각 별칭들이 많은데, 이와 같은 문항에 답을 기입할 때, 교재에 제시된 답 이외에 별칭을 기입해도 되나요?

예를 들어 '속성'을 '데이터', '상태', '상수', '변수' 등으로, '메소드'를 '함수', '연산', '동작' 등으로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각 용어들은 해당 주제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주제에 맞는 정확한 용어를 사용해주세요.

의미 상 다른 용어로도 설명이 가능할지 모르나, 주제에 따라 용어가 다르게 해석되어 오답이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상태, 상수, 변수 등은 속성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연산, 동작은 문맥에 따라 메소드를 생략하고 해당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정확한 용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함수는 다른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메소드를 포함하는 독립된 기능을 뜻합니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할 때 나올만한 단어는 아닌 것 같습니다.

3. 88섹션 질문있습니다.

(1) DNS에서 S는 Service, Server, System을 나타내는 것이 맞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DNS는 3가지를 모두 가리키나, 단순히 'DNS' 용어만을 가리킬 때는 server를 말합니다. (TTA기준)

(2) Service, Server, System일 때 DNS 용어의 의미는 모두 동일한가요?

[답변]

다릅니다.

서버와 시스템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서비스는 서버 또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3) 군집화와 군집화 기법들의 정의를 기술할 때 문장 끝에 '~기 위한 기법'을 '~하는 기법'이라고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예, 문제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8-09-27 17:29:2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86섹션 질문있습니다.

    (1) 81섹션에서 인덱스의 종류로 m-원 검색트리, B-트리, B*-트리, B+-트리가 제시되었는데, 2권 194쪽 '인덱스 종류'에는 해당 트리가 없습니다. 상기 트리들이 표현되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194쪽의 '인덱스 종류'는 인덱스 튜닝에 사용되는 (또는 시험에 출제되는) 인덱스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2) 2권 194쪽에 있는 용어인 '분포도'의 영문 표기가 궁금합니다.

    [답변]

    분포도에 대한 정확한 영문 명칭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굳이 영문명으로 표기한다면 distribution coefficient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2.87섹션 기출따라잡기 문제 1번 질문있습니다.

    (1) 괄호 1번에 '메소드' 대신에 '함수'라고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메소드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사용되는 위치를 혼동하지 마세요.

    메소드 : 객체에 수행될 연산, 즉 객체의 속성 값에 대한 변경이나 검색을 기술한 것

    또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서 함수의 정의는 언급되지 않습니다.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범위 외) 쪽에서나 등장할 듯 싶네요.

    (2) 객체 구성요소인 데이터, 함수에 대해 각각 별칭들이 많은데, 이와 같은 문항에 답을 기입할 때, 교재에 제시된 답 이외에 별칭을 기입해도 되나요?

    예를 들어 '속성'을 '데이터', '상태', '상수', '변수' 등으로, '메소드'를 '함수', '연산', '동작' 등으로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각 용어들은 해당 주제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주제에 맞는 정확한 용어를 사용해주세요.

    의미 상 다른 용어로도 설명이 가능할지 모르나, 주제에 따라 용어가 다르게 해석되어 오답이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상태, 상수, 변수 등은 속성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연산, 동작은 문맥에 따라 메소드를 생략하고 해당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정확한 용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함수는 다른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메소드를 포함하는 독립된 기능을 뜻합니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할 때 나올만한 단어는 아닌 것 같습니다.

    3. 88섹션 질문있습니다.

    (1) DNS에서 S는 Service, Server, System을 나타내는 것이 맞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DNS는 3가지를 모두 가리키나, 단순히 'DNS' 용어만을 가리킬 때는 server를 말합니다. (TTA기준)

    (2) Service, Server, System일 때 DNS 용어의 의미는 모두 동일한가요?

    [답변]

    다릅니다.

    서버와 시스템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서비스는 서버 또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3) 군집화와 군집화 기법들의 정의를 기술할 때 문장 끝에 '~기 위한 기법'을 '~하는 기법'이라고 기입해도 되나요?

    [답변]

    예, 문제 없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