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ALS의 한글 표현은 '광속 거래'와 '광속 상거래' 중 어느 것이 맞나요?
2. 65섹션 질문있습니다.
2권 44쪽 문제 1번의 괄호 4번에 '대응수'라고 써도 되나요?
3. 64섹션 질문있습니다.
(1)
2권 22쪽 하단과 23쪽 상단 '해설' 부분에 '개체'와 '관계' 뒤에 '타입'이 붙어야하는거 아닌가요?
개체는 개체타입을 이루는 개별적 요소의 개념이므로 개체타입과 관계타입이 더 옳은 표현 아닌가요?
(2)
ISA는 무엇의 약어인가요?
(3)
2권 27쪽 가장 아래의 ER도형에서 M과 N의 위치를 서로 바꿔도 되나요?
(4)
2권 26쪽 <요구 사항>의 맨 마지막에서 반대의 경우(하나의 '예금계좌'에 대응되는 '지점'의 갯수)는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지점과 예금계좌는 1:N 관계라고 하면 되나요?
(5)
2권 29페이지 문제 3번에 하이픈(-)을 빼고 기입해도 되나요?
'개체 관계 모델', 'ER 모델' 이렇게 써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CALS의 한글 표현은 '광속 거래'와 '광속 상거래' 중 어느 것이 맞나요?
[답변]
TTA 표준 기준으로 '광속 상거래'가 맞습니다.
2. 65섹션 질문있습니다.
2권 44쪽 문제 1번의 괄호 4번에 '대응수'라고 써도 되나요?
[답변]
대응수를 답으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대응수'는 튜플의 수를 표현할 때, 또는 릴레이션 스키마 구조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1:N, N:M 등의 표현을 의미합니다.
대응수가 '튜플의 수'를 의미할 때 사용된다고는 하나, 이는 '릴레이션에 속한 각 속성에 대응할 수 있는 튜플의 수'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는 대응수 보다는 카디널리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3. 64섹션 질문있습니다.
(1)2권 22쪽 하단과 23쪽 상단 '해설' 부분에 '개체'와 '관계' 뒤에 '타입'이 붙어야하는거 아닌가요?
개체는 개체타입을 이루는 개별적 요소의 개념이므로 개체타입과 관계타입이 더 옳은 표현 아닌가요?
[답변]
조금 다릅니다.
개체는 말씀하신 개체 타입을 의미하는 각 개체 어커런스들의 집합이라는 것도 의미하고,
또 각 개체 어커런스 또는 개체 인스턴스를 의미하는 개별적인 요소를 말하기도 합니다.
즉, 말씀하신 개체와 개체타입 모두가 '개체'라는 하나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단, 이러한 것들을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만 '개체 인스턴스', '개체 타입', '상위 개체', '하위 개체' 등의 용어를 활용합니다.
(2) ISA는 무엇의 약어인가요?
[답변]
'is-a'를 의미합니다.
(3) 2권 27쪽 가장 아래의 ER도형에서 M과 N의 위치를 서로 바꿔도 되나요?
[답변]
예, 가능합니다.
다대다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N과 M의 위치는 상관 없습니다.
(4) 2권 26쪽 <요구 사항>의 맨 마지막에서 반대의 경우(하나의 '예금계좌'에 대응되는 '지점'의 갯수)는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지점과 예금계좌는 1:N 관계라고 하면 되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요구 사항>에서 언급한 내용만을 정확히 적용하면 되는 사항입니다.
(5) 2권 29페이지 문제 3번에 하이픈(-)을 빼고 기입해도 되나요?
'개체 관계 모델', 'ER 모델' 이렇게 써도 되나요?
[답변]
예, 가능합니다.
다만 가능한 정확한 답변을 기입할 수 있도록 확실히 암기해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27 14:53:44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CALS의 한글 표현은 '광속 거래'와 '광속 상거래' 중 어느 것이 맞나요?
[답변]
TTA 표준 기준으로 '광속 상거래'가 맞습니다.
2. 65섹션 질문있습니다.
2권 44쪽 문제 1번의 괄호 4번에 '대응수'라고 써도 되나요?
[답변]
대응수를 답으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대응수'는 튜플의 수를 표현할 때, 또는 릴레이션 스키마 구조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1:N, N:M 등의 표현을 의미합니다.
대응수가 '튜플의 수'를 의미할 때 사용된다고는 하나, 이는 '릴레이션에 속한 각 속성에 대응할 수 있는 튜플의 수'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는 대응수 보다는 카디널리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3. 64섹션 질문있습니다.
(1)2권 22쪽 하단과 23쪽 상단 '해설' 부분에 '개체'와 '관계' 뒤에 '타입'이 붙어야하는거 아닌가요?
개체는 개체타입을 이루는 개별적 요소의 개념이므로 개체타입과 관계타입이 더 옳은 표현 아닌가요?
[답변]
조금 다릅니다.
개체는 말씀하신 개체 타입을 의미하는 각 개체 어커런스들의 집합이라는 것도 의미하고,
또 각 개체 어커런스 또는 개체 인스턴스를 의미하는 개별적인 요소를 말하기도 합니다.
즉, 말씀하신 개체와 개체타입 모두가 '개체'라는 하나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단, 이러한 것들을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만 '개체 인스턴스', '개체 타입', '상위 개체', '하위 개체' 등의 용어를 활용합니다.
(2) ISA는 무엇의 약어인가요?
[답변]
'is-a'를 의미합니다.
(3) 2권 27쪽 가장 아래의 ER도형에서 M과 N의 위치를 서로 바꿔도 되나요?
[답변]
예, 가능합니다.
다대다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N과 M의 위치는 상관 없습니다.
(4) 2권 26쪽 <요구 사항>의 맨 마지막에서 반대의 경우(하나의 '예금계좌'에 대응되는 '지점'의 갯수)는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지점과 예금계좌는 1:N 관계라고 하면 되나요?
[답변]
예, 맞습니다.
<요구 사항>에서 언급한 내용만을 정확히 적용하면 되는 사항입니다.
(5) 2권 29페이지 문제 3번에 하이픈(-)을 빼고 기입해도 되나요?
'개체 관계 모델', 'ER 모델' 이렇게 써도 되나요?
[답변]
예, 가능합니다.
다만 가능한 정확한 답변을 기입할 수 있도록 확실히 암기해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