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 4 정규형(4NF)를 'Boyce-Codd 정규형을 만족하면서 다치 종속이 제거된 정규형'이라고 기술해도 되나요?
2.
산업기사 2017년도 1회차 17번문제 정답 수정해야할것 같습니다.
숫자를 입력하시오: 5
11
23
47
95
가 정답인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제 4 정규형(4NF)를 'Boyce-Codd 정규형을 만족하면서 다치 종속이 제거된 정규형'이라고 기술해도 되나요?
[답변]
제 4정규형에서 다치 종속 제거는 정확한 답이 아닙니다.
다치 종속이 존재하면서 제 4정규형을 만족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책에서는 제 4정규형을 "제 4정규형은 테이블 R에 다중 값 종속(MVD; Multi Valued Dependency) A →→ B가 존재할 경우 R의 모든 속성이 A에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족하는 정규형이다."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즉 다치 종속을 제거 하여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드는 것이 아닌 다치 종속을 이용하여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해야 정확한 답변이 됩니다.
2.산업기사 2017년도 1회차 17번문제 정답 수정해야할것 같습니다.
[답변]
아닙니다.
해당 문제의 경우 입력과정에서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는 제외하고 생각하셔야합니다.
문제에서 "다음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키보드로 “5”를 입력했을 때 출력결과를 쓰시오."라고 하였으므로,
이미 "숫자를 입력하시오 :"가 화면에 출력되고 입력은 5가 되어 엔터를 입력한 상태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즉 결과로 출력되는
5
11
23
47
95
만이 정답이 되는 것이지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09-21 14:23:04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제 4 정규형(4NF)를 'Boyce-Codd 정규형을 만족하면서 다치 종속이 제거된 정규형'이라고 기술해도 되나요?
[답변]
제 4정규형에서 다치 종속 제거는 정확한 답이 아닙니다.
다치 종속이 존재하면서 제 4정규형을 만족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책에서는 제 4정규형을 "제 4정규형은 테이블 R에 다중 값 종속(MVD; Multi Valued Dependency) A →→ B가 존재할 경우 R의 모든 속성이 A에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족하는 정규형이다."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즉 다치 종속을 제거 하여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드는 것이 아닌 다치 종속을 이용하여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해야 정확한 답변이 됩니다.
2.산업기사 2017년도 1회차 17번문제 정답 수정해야할것 같습니다.
[답변]
아닙니다.
해당 문제의 경우 입력과정에서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는 제외하고 생각하셔야합니다.
문제에서 "다음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키보드로 “5”를 입력했을 때 출력결과를 쓰시오."라고 하였으므로,
이미 "숫자를 입력하시오 :"가 화면에 출력되고 입력은 5가 되어 엔터를 입력한 상태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즉 결과로 출력되는
5
11
23
47
95
만이 정답이 되는 것이지요.
행복한 하루되세요.^^